본문 바로가기

유용한16

[본문스크랩] 중학 국어 문법 Ⅰ.단어 ⊙품사 [ 1. 품사의 개관 ] ⑴ 품사의 정의 : 성질이 공통된 단어끼리 모아놓은 단어의 갈래 ⑵ 품사의 분류 기준 : 품사는 단어가 가지고 있는 기능, 형태, 의미에 따라 분류한다. ⑶ 품사의 갈래 ① 자립성에 따라 : 단어에 실질적인 뜻이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 실질적인 뜻을 가지고 있지 않아 자립성이 없이 앞 단어에 붙여 쓰는 단어를 '조사'라고 한다. ② 형태의 변화의 유무에 따라 : 실질적인 뜻을 가지고 있는 단어 중, 형태가 변하는 것을 '용언'이라 한다. 형태가 변하지 않는 것에는 '체언'과 '수식언'이 있다. ③ 기능의 다양성에 따라 : 형태가 변하지 않는 것 중에 기능이 여러 가지인 것을 '체언', 하나인 것을 '수식언'이라 한다. ④ 의미에 따라 : 하위 분류로 의미에 따라 .. 2010. 3. 7.
[본문스크랩] 중세 국어의 표기법 중세 국어의 표기법 중세국어에서의 표기법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로, 연철은 이어적기라고도 하는데 오늘날 국어처럼 표의주의(형태주의)식 표기를 하지 아니하고 표음주의로 즉, 소리나는 대로 적었다. 실사(의미부)의 끝받침을 모음으로 시작되는 허사(형태부)의 초성으로 내려적었다. 표기법에서 효율적인 방법은 형태주의 표기법이다. 의미를 나타내는 그림이 더 효율적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말 이'(형태주의 표기) → '말 미'(표음주의 표기)의 경우이다. 둘째, 분철이다. 분철은 끊어적기라고도 하며, 기본적인 형태를 살려 표기하는 것으로 오늘날 표기법인 표의주의에 따른 것이다. 체언과 조사(국+을), 어간과 어미(먹+어), 어원이 확실한 파생어(얼+음)에서처럼 끊어 적기를 하는 것이.. 2010. 3. 7.
[본문스크랩] 4단원 : (2)문장다듬기 -요점정리 (2) 문장 다듬기 1 문법적 직관 키우기 ※ 다음 자료에서 잘못되었다고 생각하는 문장을 모두 찾아보자. 인체, 입체, 공간, 움직임…… 여러개의 선을 그어 몸을 나누어 보고 다시 잇대어 연장시키기도 하면서 적절한 인체의 형과 선을 찾으며 생각해 보는 단어들이다. 우리 자신인 인체는 오랜 습관으로 하나의 살아 있는 유기체라기보다는 시각적 구조물로서 간주되어지고 있다. 큰 키, 작은 눈, 멋진 다리 등 어떤 무엇인가의 시대 정신에 따르는 미의 기준으로 인해 비교 평가는 자연의 창조물인 인체 위에 본능적으로 인고의 창조자인 사람의 때로는 지나친 과장으로, 때로는 가슴을 졸이게 하는 최소한 덧붙임으로 아슬아슬한 멋을, 즐거움을 좇기도 한다. 나의 작업들은 이러한 의복을 통한 인간의 사고 속에 내재되어 있을 꿈.. 2010. 3. 7.
[본문스크랩] 4단원 : (2)문장다듬기 -요점 및 문제 (2) 문장 다듬기 학습목표 1. 국어 생활에 흔히 쓰기 쉬운 비문법적인 문장의 유형을 파악할 수 있다. 2. 비문법적인 문장을 규범에 맞게 고칠 수 있다. 3. 정확한 문장을 사용하는 습관을 기른다. ◆ "나는 커피를 마실게, 너는 커피를 마실래?“ 했을 때, 이 말이 웃음을 자아내는 이유를 말해보자. ● 유구한 빛나는 전통 문화를 단절시킬 가능성이 큰 융통성 없는 문화 정책은 재고해야 한다. * 유구하고 빛나는 ~ 가능성이 큰, 융통성 없는 ~ ● 이 수술은 후유증이 없는 고도의 정밀한 수술로 비용도 저렴한 파격적인 저비용이다. * 이 수술은 고도로 정밀하여 후유증도 없고 안전하며, 비용도 파격적으로 저렴하다. ▶ 관형화 구성 꾸미는 말을 중첩하여 쓰거나, 전체 문장의 의미에 비추어 관형화 구성을하지.. 2010. 3. 7.
[본문스크랩] 4단원 : (1)말다듬기 -요점 및 문제 (1) 말 다듬기 학습목표 1. 어법에 어긋난 언어 표현을 바르게 고칠 수 있다. 2. 말 다듬기 활동의 중요성을 알고, 바른 언어 습관을 습득할 수 있다. ▣ 안내하기 ◆ 학생이 보낸 전자우편의 일부이다. 어색하거나 밑줄 친 부분을 고쳐 보자. “일주일 전에 이뻐질라고 염색했는데, 기분이 틀리네여. 낼 부터는 밖에 나가서 널려구여. 쥔짜 고등학교때 겅부 열띠미 안하거 짐해서야 후회되는데 ” ▣ 활동하기 ◆ 다음 문장에서 어법에 어긋난 말을 찾아 고쳐 보자. ■ 너 선생님이 빨리 오래. - 고친 문장 : 너, 선생님게서 빨리 오라셔. - 고친 이유 : ‘오라셔’는 ‘오라고 하셔’의 준말로, 오라고 한 주체가 선생님이므로 주체높임 선어말어미 ‘-시-’를 써야 한다. ■ 주례 선생님의 말씀이 계시겠습니다. .. 2010. 3. 7.
[본문스크랩] 4단원 : (1)말다듬기 - 요점정리 > (1) 말 다듬기 - 요점 정리 ■ 다음 글을 다듬어 고쳐 보자. ◐ 너, 선생님이 빨리 오래. → 너, 선생님께서 빨리 오라셔. 1. 높임법의 잘못된 사용 높임법은 말하는 이가 주체, 객체, 그리고 듣는 이에 대하여 높임의 태도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높이는 대상이 누구인가에 따라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으로 나뉜다. 주체 높임법에 대하여 알아보자. (1) 문장의 주체(=주어)를 선어말 어미 ‘-(으)시-’를 사용해서 높이는 문법적 행위 ☞ 영희가 왔다. → 아버지께서 오셨다. (2) 주체 높임법은 주격 조사에 의해서도 실현된다. ☞ ‘가’ → ‘께서’' (3) 주체 높임법은 동사에 의해서도 실현된다. ☞ ‘있다 - 계 다’, ‘먹다 - 잡수시다’, ‘자다 - 주무시다’, ‘아프.. 2010. 3. 7.
[본문스크랩] 중세 국어의 표기법 중세 국어의 표기법 중세국어에서의 표기법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로, 연철은 이어적기라고도 하는데 오늘날 국어처럼 표의주의(형태주의)식 표기를 하지 아니하고 표음주의로 즉, 소리나는 대로 적었다. 실사(의미부)의 끝받침을 모음으로 시작되는 허사(형태부)의 초성으로 내려적었다. 표기법에서 효율적인 방법은 형태주의 표기법이다. 의미를 나타내는 그림이 더 효율적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말 이'(형태주의 표기) → '말 미'(표음주의 표기)의 경우이다. 둘째, 분철이다. 분철은 끊어적기라고도 하며, 기본적인 형태를 살려 표기하는 것으로 오늘날 표기법인 표의주의에 따른 것이다. 체언과 조사(국+을), 어간과 어미(먹+어), 어원이 확실한 파생어(얼+음)에서처럼 끊어 적기를 하는 것이.. 2010. 3. 7.
[본문스크랩] 4단원 : (2)문장다듬기 -요점정리 (2) 문장 다듬기 1 문법적 직관 키우기 ※ 다음 자료에서 잘못되었다고 생각하는 문장을 모두 찾아보자. 인체, 입체, 공간, 움직임…… 여러개의 선을 그어 몸을 나누어 보고 다시 잇대어 연장시키기도 하면서 적절한 인체의 형과 선을 찾으며 생각해 보는 단어들이다. 우리 자신인 인체는 오랜 습관으로 하나의 살아 있는 유기체라기보다는 시각적 구조물로서 간주되어지고 있다. 큰 키, 작은 눈, 멋진 다리 등 어떤 무엇인가의 시대 정신에 따르는 미의 기준으로 인해 비교 평가는 자연의 창조물인 인체 위에 본능적으로 인고의 창조자인 사람의 때로는 지나친 과장으로, 때로는 가슴을 졸이게 하는 최소한 덧붙임으로 아슬아슬한 멋을, 즐거움을 좇기도 한다. 나의 작업들은 이러한 의복을 통한 인간의 사고 속에 내재되어 있을 꿈.. 2010. 3. 7.
[본문스크랩] 4단원 : (2)문장다듬기 -요점 및 문제 (2) 문장 다듬기 학습목표 1. 국어 생활에 흔히 쓰기 쉬운 비문법적인 문장의 유형을 파악할 수 있다. 2. 비문법적인 문장을 규범에 맞게 고칠 수 있다. 3. 정확한 문장을 사용하는 습관을 기른다. ◆ "나는 커피를 마실게, 너는 커피를 마실래?“ 했을 때, 이 말이 웃음을 자아내는 이유를 말해보자. ● 유구한 빛나는 전통 문화를 단절시킬 가능성이 큰 융통성 없는 문화 정책은 재고해야 한다. * 유구하고 빛나는 ~ 가능성이 큰, 융통성 없는 ~ ● 이 수술은 후유증이 없는 고도의 정밀한 수술로 비용도 저렴한 파격적인 저비용이다. * 이 수술은 고도로 정밀하여 후유증도 없고 안전하며, 비용도 파격적으로 저렴하다. ▶ 관형화 구성 꾸미는 말을 중첩하여 쓰거나, 전체 문장의 의미에 비추어 관형화 구성을하지.. 2010. 3. 7.
[본문스크랩] 4단원 : (1)말다듬기 -요점 및 문제 (1) 말 다듬기 학습목표 1. 어법에 어긋난 언어 표현을 바르게 고칠 수 있다. 2. 말 다듬기 활동의 중요성을 알고, 바른 언어 습관을 습득할 수 있다. ▣ 안내하기 ◆ 학생이 보낸 전자우편의 일부이다. 어색하거나 밑줄 친 부분을 고쳐 보자. “일주일 전에 이뻐질라고 염색했는데, 기분이 틀리네여. 낼 부터는 밖에 나가서 널려구여. 쥔짜 고등학교때 겅부 열띠미 안하거 짐해서야 후회되는데 ” ▣ 활동하기 ◆ 다음 문장에서 어법에 어긋난 말을 찾아 고쳐 보자. ■ 너 선생님이 빨리 오래. - 고친 문장 : 너, 선생님게서 빨리 오라셔. - 고친 이유 : ‘오라셔’는 ‘오라고 하셔’의 준말로, 오라고 한 주체가 선생님이므로 주체높임 선어말어미 ‘-시-’를 써야 한다. ■ 주례 선생님의 말씀이 계시겠습니다. .. 2010.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