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본문스크랩] 중학 국어 문법

by 심자한 2010. 3. 7.

Ⅰ.단어

 

⊙품사

[ 1. 품사의 개관 ]

⑴ 품사의 정의 : 성질이 공통된 단어끼리 모아놓은 단어의 갈래

⑵ 품사의 분류 기준 : 품사는 단어가 가지고 있는 기능, 형태, 의미에 따라 분류한다.

⑶ 품사의 갈래

  ① 자립성에 따라 : 단어에 실질적인 뜻이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 실질적인 뜻을 가지고 있지 않아 자립성이 없이 앞 단어에 붙여 쓰는 단어를 '조사'라고 한다.

  ② 형태의 변화의 유무에 따라 : 실질적인 뜻을 가지고 있는 단어 중, 형태가 변하는 것을 '용언'이라 한다. 형태가 변하지 않는 것에는 '체언'과 '수식언'이 있다.

  ③ 기능의 다양성에 따라 : 형태가 변하지 않는 것 중에 기능이 여러 가지인 것을 '체언', 하나인 것을 '수식언'이라 한다.

  ④ 의미에 따라 : 하위 분류로 의미에 따라 아홉 품사로 분류된다.

    *품사 분류표

 

 

 류

 기

 준

 자 립 성

실    사   (자 립 어)

허사(의존어)  

 형    태

   불  변  어

  가 변 어

  불 변 어

 불변어

     -

 기    능

   체      언

  용    언

  수 식 언

 독립언

  관 계 언

 의    미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조    사

   ▶의존어 : 자립성이 없어 항상 다른 품사들의 문법적 관계만을 보여 주는 말로, 조사와 같은 실질적인 의미 내용을 지니지 못한 말

 

  [ 2. 명사 ]

⑴ 명사의 정의 :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

⑵ 명사의 특성

  ①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 변하지 않는다.

  ② 관형어의 꾸밈을 받는다.  예) , 아름다운

                                                 └┘              └┘

  ③ 조사가 붙어 여러 가지 문장 성분으로 쓰인다.

    ○ 주  어 : 이 연필은 진하다.

    ○ 서술어 : 이것은 새 연필이다.

    ○ 목적어 : 어머니가 새 연필을 사 오셨다.

    ○ 보  어 : 이것은 빨간 연필이 아니다.

    ○ 관형어 : 연필의 길이가 짧아 글씨를 쓸 수가 없다.

    ○ 부사어 : 저 새 연필로 써라.

    ○ 독립어 : 연필, 그것은 공부하는 데 꼭 필요한 학용품이다.

⑶ 명사의 갈래

   ① 쓰이는 범위에 따라

       보통 명사 : 같은 사물에 두루 쓰이는 명사 예) 지하철, 선생님, 사람, 꽃

       고유 명사 : 특정한 사람이나 물건에 대하여 붙여진 이름 예) 동대문, 김철수, 영국, 삼국사기

   ② 자립성의 유무에 따라

       자립 명사 : 다른 말의 도움을 받지 않고 쓰이는 명사 예) 동대문, 선생님, 사람, 꽃

       의존 명사 : 명사의 성격을 띠고 있으면서도 그 의미가 형식적이어서 다른 말 아래 기대어 쓰이는 명사
                        
예) 분, 뿐, 것, 수, 데, 줄

   ▶관형어의 꾸밈

     ① 보통 명사 : 관형어의 꾸밈을 자유롭게 받는다.

     ② 고유 명사 : 관형사의 수가 제한 되며, 관형어(체언+의, 용언의 관형사형)도 아무거나 자유롭게 올 수 없다.

     ③ 의존 명사 : '것' 이외에는 관형사가 거의 올 수 없고, 용언의 관형사형(-는, -ㄴ, -을, -ㄹ, -던)만이 비교적 자유롭게 붙을 수 있다.

   ▶의존 명사와 조사의 구분

     '만큼, 대로, 뿐' 등은 용언의 관형사형 뒤에 오면 의존 명사이지만, 체언 뒤에 오면 조사이므로 붙여 써야 한다.

     ① 조사인 경우

       ○너대로, 마음대로

       ○너만큼, 철수만큼

       ○너, 마음이지만

     ② 의존 명사인 경우

       ○먹는 대로

       ○할 만큼, 먹을 만큼

       ○놀기만 할 이다.

 

  [ 3. 대명사 ]

⑴ 대명사의 정의 : 사람이나 사물, 장소의 이름을 대신하여 가리키는 말

⑵ 대명사의 특성

   ①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 변하지 않는다.

   ② 조사가 붙어 여러 가지 문장 성분으로 쓰인다.

   ③ 대명사 앞에 오는 관형사는 극히 제한적이다. 그러나 용언의 관형사형(-는,-ㄴ,-을,-ㄹ,-던)의 꾸밈을 받을 수 있다.

      예) 아름다운 당신,  내가 보던 그것,  아무 이것(×)  

                      └┘                └─┘

⑶ 대명사의 갈래

   ① 인칭 대명사 : 사람을 표시하는 데 쓰이는 대명사

     ○제1인칭:말하는 이를 가리키는 것  예) 나, 우리, 저, 저희

     ○제2인칭:말 듣는 이를 가리키는 것  예) 너, 너희, 자네, 그대, 당신

     ○제3인칭:다른 사람을 가리키는 것  예) 이분, 저분, 그분, 이이, 저이, 그이, 누구, 아무

  ② 지시 대명사 : 사물이나 장소를 지시하는 대명사

분  류

  근  칭

  중  칭

  원  칭

   미 지 칭

 부 정 칭

사물대명사

  이  것

  그  것

  저  것

 무엇, 어느것

 아 무 것

처소대명사

  거  기

  거  기

  저  기

    어 디

 아 무 데

   ▶ 이, 그, 저

     '이, 그, 저' 다음에 조사나 의존 명사가 있으면 대명사, 없으면 관형사이다.

      예) ○그리운 는, 가 운다. (대명사)

           ○ 책, 사람 (관형사)

   ▶ 이리, 그리, 저리

     이것들은 대명사가 아니라 부사이다. 왜냐하면 조사가 자유로이 붙을 수 없기 때문이다.

      예) 이리가(×), 그리를(×)

   ▶ 3인칭 대명사의 체계

 분  류

  높  임

  예  사

  낮  춤

 근  칭

   이분

   이이

   이애

 중  칭

   그분

   그이

   그애

 원  칭

   저분  

   저이

   저애

 미지칭

  어느분

        누구

 부정칭

  아무분

        아무

 

  [ 4. 수사.체언 ]

⑴ 수사의 정의 :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가리키는 말

⑵ 수사의 특성

   ①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 변하지 않는다.

   ② 조사가 붙어 여러 가지 문장 성분으로 쓰인다.

   ③ 관형사나 용언의 관형사형의 수식을 받을 수 없다. 예) 새 하나(×), 큰 둘(×)

⑶ 수사의 갈래

   ① 양수사 : 수량을 가리키는 수사

   ② 서수사 : 순서를 가리키는 수사

                      ┌▷고유어계: 하나, 둘, 셋, 넷, 다섯......

        ┌양수사 └▷한자어계: 일, 이, 삼, 사, 오, 육......

 수사 ┤          ┌▷고유어계: 첫째, 둘째, 셋째, 넷째......

        └서수사 └▷한자어계: 제일, 제이, 제삼, 제사......

⑷ 체언의 정의 : 명사, 대명사, 수사를 묶어서 가리키는 말

⑸ 체언의 특성

  ① 문장 안에서 주로 주체가 되는 자리에 쓰인다.

  ②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 변하지 않는다.

  ③ 조사가 붙어 문장에서 여러 가지 구실을 한다.

  ④ 관형어의 수식을 받는다.

    ○명사:관형사, 관형사형에 의하여 꾸밈을 받을 수 있다.

    ○대명사:관형사형에 의해서만 꾸밈을 받을 수 있다.

    ○수사:관형사, 관형사형에 의하여 꾸밈을 받을 수 없다.

  ▶ 수사와 관형사

   ①수사:뒤에 조사가 올 수 있다. 예) 보다 하나가 적다.

   ②관형사:뒤에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가 온다. 예) 사람이 간다.

  ▶ 수사와 대명사

   ①수사:문장속의 한 대상을 가리킨다. 예) 사과 하나를 샀다.('사과'를 가리킴)

   ②대명사:문장 밖 이야기 현장의 대상을 가리킨다. 예) 철수가 거기에 있다.('거기'는 문장 속에 나타나 있지 않음)

  ▶ 체언의 복수

    셀 수 있는 명사와 대명사에 접미사 '-들'을 붙여 복수를 표시한다.

    예) 학생들이 운동장에 있다.

 

  [ 5. 조사 ]

⑴ 조사의 정의 : 체언 뒤에 붙어서 문장 안에서의 체언의 구실을 하면서 문장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하는 말이다.

⑵ 조사의 특성

  ① 자립성이 없어서 앞말에 붙여 쓴다.

  ② 주로 체언에 붙어 문법적 관계를 나타나거나 뜻을 더해주는 구실을 한다.

  ③ 부사나 용언의 연결 어미, 다른 조사와 결합할 수 있다.

⑶ 조사의 갈래

  ① 격조사 : 체언 뒤에 붙어서 문장 안에서의 체언의 구실을 하면서 문장의 의미가 드러나도록 하는 말이다.

    ○주격 조사 :주어임을 표시해 주는 조사  예) 이/가, 께서, 에서(단체), 서(사람) (철수 학교에 간다.)  

    ○목적격 조사 :목적어임을 표시해 주는 조사  예) 을/를/ㄹ (앞 똑바로 보아라)

    ○보격 조사 :보어임을 나타내는 조사  예) 이/가 (그는 학생 아니다.)

    ○서술격 조사 :서술어임을 표시해 주는 조사  예) 이다 (영희는 학생이다.)

    ○관형격 조사 :관형어임을 표시해 주는 조사  예) 의 (순이 옷은 매우 예쁘다.)

    ○부사격 조사 :부사임을 표시해 주는 조사 예) 에, 에서, 에게 께, 한테, (으)로, (으)로서, (으)로써, 처럼, 같이, 만큼, 보다, 라고 (이 책을 너에게 주마.)

    ○호격 조사:호칭의 대상이 되게 해 주는 조사  예) 아/야, (이)여, (이)시여 (철수, 학교에 가자.)

  ② 보조사 : 체언의 어느 격으로 한정하지 않고 여러 문장 성분에 두루 쓰여 그 단어에 특별한 뜻을 더해주는 조사  예) 은/는(주제, 대조), 도(역시), 만(단독), 조차(역시, 최종), 부터(시작, 먼저), 까지(도착), (이)나 (선택), 마저(종결, 역시), 밖에(더 없음), 뿐(단독)

  ③ 접속 조사 : 두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는 구실을 하는 조사  예) 와/과, (이)며, (이)고, 랑, 에다(철수 순이는 학생이다.)

⑷ 조사의 결합

  ① 조사는 주로 체언에 붙는다.  예) 빨리 달린다. 우리 좋아한다.

  ② 부사나 부사격 조사, 용언의 연결 어미에도 붙는다.  예) 오늘은 날씨가 몹시 나쁘다. (부사+조사) 서울에서 별을 보기가 매우 힘들다.(부사격조사+조사)  그것은 마음에 들지 않는다. (연결어미+조사)

  ③ 조사는 조사들끼리 결합할 수 있다.

    ○ 격조사 + 보조사   예)에게는 쉽지 않다.

    ○ 보조사 + 격조사   예) 철수까지가 합격이다.

    ○ 보조사 + 보조사   예) 그 책만은 보지 말아라.

⑸ 조사의 모습 바뀜

    조사 가운데는 앞의 말이 모음으로 끝나느냐, 자음으로 끝나느냐에 따라 모습을 달리 하는 것이 있다.
     ○ 자음 + 이, 을, 아, 으로, 은, 과......

     ○ 모음 + 가, 를, 야, 로, 는, 와......

      예) 순이 사과 을 샀다.  아버님 사과 사셨다.

   ▶ 조사와 단어

     단어는 원래 자립성을 발휘하는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자립 형태소에서 쉽게 분리되는 조사도 단어로 취급한다. 따라서 조사는 앞 단어에 붙여 쓰는 유일한 단어이다.

   ▶ 부사격 조사의 갈래

     ○ 처소: 에, 에서 (학교 있다.)

     ○ 부여: 에, 에게, 께, 한테 (동생에게 주었다.)

     ○ 탈취: 에서, 에게서, 한테서 (형님에게서 받았다.)

     ○ 유래: 에서, 서 (서울에서 오다.)

     ○ 향진: 에, (으)로, 에게로 (바다 가자.)

     ○ 원인: (으)로, 에 (불 타다.)

     ○ 기구: (으)로, (으)로써 (칼로써 연필을 깎다.)

     ○ 자격: (으)로, (으)로서 (학생으로서 할 일)

     ○ 공동, 비교: 와, 과, 하고, 랑

     ○ 비교: 처럼, 같이, 만큼, 보다

     ○ 인용: 고, 라고

   ▶ 보조사의 격 표시

      보조사는 여러 종류의 격의 위치에 나타나므로 문장 성분을 밝힐 경우에는 원래의 격을 찾아 밝혀 본다.

      ○ 우리 자유를 원한다. ⇒ 우리 자유를 원한다.(주격)

      ○ 우리가 책 샀다. ⇒ 우리가 책 샀다.(목적격)

   ▶ '와/과'의 기능

      조사 '와/과'는 비교, 공동의 뜻을 지닌 부사격 조사와 접속조사 두 종류가 있다.

       ① 철수 순이는 학생이다.  ( ← 접속 조사)

       ② 순이는 철수 다르다.  ( ← 부사격 조사)

      '와/과'가 ①처럼 주어(또는 목적어) 앞에 있으면 접속 조사이고, ②와 같이 주어(또는 목적어) 뒤에 있으면 부사적 조사이다.

   ▶ 조사의 생략

     ① 구어체에서 나타난다.

     ② 체언으로만 자격이 분명할 때 나타난다.

 

  [ 6. 동사.형용사(용언) ]

⑴ 동사 : 사물의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말  

    ① 동작:사람의 움직임  예) 가다, 오다, 노래하다, 사랑하다, 생각하다

    ② 작용:자연의 움직임  예) 뜨다, 새다, 흐르다, 피다, 죽다, 늙다, 닮다

⑵ 형용사 :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

    ① 성상 형용사: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

      ○ 성질(객관적 형용사):'-아/어하다' 불가능 예) 꽃이 붉다. (→꽃이 붉어한다.(×))

      ○ 상태(주관적 형용사):'-아/어하다' 가능   예) 나는 꽃이 좋다. (→나는 꽃을 좋아한다.(○))

    ② 지시 형용사:지시성을 띤 형용사  예) 이러하다, 저러하다, 그러하다

   ▶ 동사와 형용사의 판별

      ① '-는다', '-ㄴ다' 를 붙여본다.

         ┌ 먹다 - 먹는다(○) →동사     ┌ 그리다 - 그린다(○) →동사

         └ 높다 - 높는다(×) →형용사  └ 그립다 - 그립는다(×) →형용사

      ② 명령형 '-아라', '-어라'를 붙여본다.

         ┌ 먹다 - 먹어라(○) →동사     ┌ 그리다 - 그려라(○) →동사

         └ 높다 - 높아라(×) →형용사  └ 그립다 - 그리워라(×) →형용사

                (감탄형은 가능하다)

   ▶ 동사의 성격

       동사 ┬ 동작 - 사람의 움직임

              └ 작용 - 자연의 움직임

   ▶ 형용사의 종류

       형용사 ┬ 성상 형용사 - 성질, 상태

                 └ 지시 형용사

   ▶ 동사와 형용사의 판별

      동사와 형용사는 모두 형태가 변하므로 '어간+-다'의형태인 기본형을 가진다. 따라서 기본형을 가진 말은 동사와 형용사뿐이다.

       ① '-ㄴ다/-는다'를 취하면 동사이다.

       ② 기본형만으로 완전한 서술 능력을 가지면 형용사이다.

          ┌ 밥을 먹다.(×) →동사

          └ 꽃이 아름답다.(○) →형용사

       ③ '-아라/어라'가 동사에서는 명령형, 형용사에서는 감탄형으로 쓰인다.

          ┌ 밥을 먹어라.(명령) →동사

          └ 산이 높아라.(감탄) →형용사     

⑶ 용언 : 문장의 주체를 서술하는 기능을 가진 말로, 동사와 형용사가 이에 속한다.

    ① 쓰임에 따라 형태가 변한다.

    ② 문장에서 주로 서술어가 된다.

    ③ 용언의 뜻을 나타내는 어간과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어미로 나눌 수 있다.

 

  [ 7. 용언의 활용 ]

⑴ 활용 : 한 어간에 여러 다른 어미가 붙어서 말의 형태가 바뀌는 것

   ① 어간:활용할 때 변하지 않는 부분. 뜻을 지니고 있다.

   ② 어미:활용할 때 변하는 부분. 문법적 관계를 나타낸다.

   ③ 기본형:어간에 어미 '-다'를 붙인 말. 사전의 표제어로 사용한다.

⑵ 활용어 : 활용하는 단어. 동사, 형용사와 서술격 조사가 이에 속한다.

    활용어 ─┬─ 용언  ┌ 동사

                  |              └ 형용사

                 └ 서술격 조사 : 이다

⑶ 활용의 종류

   ① 종결형 : 문장을 끝맺는 활용 형태.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 등이 있다.

     예) 철수가 간다. 철수가 가냐? 철수야, 가거라. 철수야, 가자. 철수가 가는구나.

   ② 연결형 : 문장을 연결시켜 주는 활용 형태. 대등적, 종속적, 보조적 연결형 등이 있다.

     예) 비가 오고, 바람이 분다. 비가 오면, 꽃이 핀다. 비가 오고 있다.

   ③ 전성형 : 문장의 기능을 바꿔주는 활용 형태. 명사형과 관형사형이 있다.

     예) 집에 가기가 어렵다. 집에 가는 차가 몇 번이냐?

⑷ 서술격 조사 '-이다'에 대하여

   ① 체언에 붙어 서술어가 되도록 한다.

   ② '-이다'의 '-이-'는 생략될 수 있다. 예) 그것은 소(이)다.

   ③ 활용 모습은 형용사와 비슷하나 '로'가 첨가되기도 한다. 예) 이제는 가을이로군.

   ▶ 활용의 모습

         ┌ 다                 ┌ 다

          | 는구나            | 구나

     받 ├ 았다          깊 ├ 었다

          | 게                   | 게

         └ 아라              └ 고

 (어간)   (어미)     (어간)  (어미)

   ▶ 어간과 어미의 구분

     ① 어미 '-게'를 붙여 보면 대부분 어간의 모습을 알 수 있다.  예) 흐르게, 게,

     ② 높임의 '-시'는 어미로 취급한다.

     ③ 어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어미이다.  예) 가셨다 → 가(시)게 (어간이 '가-'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가셨다 = 가 + 셨다.

   ▶ 활용의 구분

     ① 종결형은 문장의 맨 뒤에만 나타난다.

     ② 문장 중간에 나타나는 활용형은 연결형과 전성형이다. 이 중 전성형을 제외한 것이 연결형이다.

 

  [ 8. 규칙 활용 ]

⑴ 규칙 용언의 뜻 : 용언이 활용할 때 어간과 어미의 모습이 일정하거나, 국어의 일반적인 음운 규칙으로 설명할 수 있는 변화를 하는 용언

⑵ 음운 규칙으로 설명할 수 있는 변화

  ① 어간의 변화

    ㉠ '으' 탈락 : 어간 말음 '으'가 모음으로 된 어미 '-아/어'나 '-았/-었' 앞에서 탈락되는 것

        쓰┬ -어 → 써             따르┬ -아 → 따라

           └ -었다 → 썼다             └ -았다 → 따랐다

       예) 쓰다, 끄다, 뜨다, 따르다, 다다르다, 슬프다, 기쁘다

    ㉡ 'ㄹ' 탈락 : 어간 말음 'ㄹ'이 'ㄴ, ㅂ, -시-, -오'로 된 어미 앞에서 탈락하는 것

               ┌ - 니    → 사니

           살 ┤ -ㅂ니다 →삽니다

               │ -시오   →사시오

               └ -오     →사오

       예) 살다, 울다, 물다, 알다, 돌다, 멀다, 길다, 달다, 잘다

  ② 어미의 변화

    ㉠ 어미 '-아'와 '-어' : 어간 모음이 양성 모음(ㅏ, ㅗ)이면 '-아', 음성모음(ㅓ, ㅜ)이면 '-어'가 사용된다.

       예) 잡다 → 잡아,   몰다 → 몰아,  접다 → 접어,  물다 → 물어

    ㉡ '으' 삽입 : 'ㄹ' 이외의 받침을 가진 어간이 'ㄴ, ㄹ, ㅂ, -시-, -며' 등의 앞에서 '으'를 요구하는 것

       예) 잡 + ㄴ → 잡은,  먹 + ㄹ → 먹을,  받 + ㅂ니다 → 받습니다,  솟 + 오 → 솟으오,  깎 + 시다 → 깎으시다,  좋 + 며 → 좋으며

   ▶ 음운 규칙에 의한 어간과 어미의 바뀜

      어간에 어미가 붙을 때는 어간이나 어미가 바뀌는 일이 있다. 이러한 변화 가운데는 그 변화의 원인을 우리말에 대한 음운적 지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쓰다 →써'는 어간 '쓰-'의 '으'가 모음 어미를 만나 떨어진 것이다. 이것은 음절 결합에서 필연적 음운 변화이므로 불규칙이라고 한다면 그렇지 않은 규칙적인 것이 있어야 하는 데 '으'로 된 말은 예외없이 모음 앞에서 '으'가 탈락되기 때문이다. '살다 → 사니'의 'ㄹ'탈락도 단순한 소리의 탈락이다. '-ㄴ, -ㅂ-, -오, -시-'의 앞에서는 예외없이 탈락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런 변화를 '자동적 교체'라고 부르는 일도 있다.

 

     [ 9. 불규칙 활용 ]

⑴ 불규칙 용언의 뜻 : 용언이 활용을 할 때 어간이나 어미의 모습이 달라지는 것 중, 국어의 일반적 음운 규칙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

⑵ 불규칙 용언의 종류

   ① 어간의 바뀜

     ㉠ 'ㅅ'불규칙 : 어간 말음인 'ㅅ'이 모음 어미 앞에서 탈락하는 것  예) 짓다, 짓고, 짓게, 짓지, 지어서, 지어라, 지으니

        ┌ 'ㅅ' 불규칙 용언 : 잇다, 짓다, 긋다, 낫다, 젓다

        └ 'ㅅ' 규칙 용언 : 벗다, 빗다, 솟다, 씻다, 빼앗다

     ㉡ 'ㄷ'불규칙:어간 말음인 'ㄷ'이 모음 어미 앞에서 'ㄹ'로 변하는 것 예) 묻다, 묻고, 묻게, 묻지, 물어서, 물어라, 물으니

        ┌ 'ㄷ' 불규칙 용언 : 듣다. 걷다(步), 일컫다, 묻다(問), 긷다

        └ 'ㄷ' 규칙 용언 : 닫다, 돋다, 믿다, 쏟다, 묻다(埋), 얻다

     ㉢ 'ㅂ'불규칙 : 어간 말음인 'ㅂ'이 모음 어미 앞에서 '오/우'로 변하는 것

                   예) 돕다, 돕고, 돕게, 돕지, 도와서, 도와라, 도우니, 도움

        ┌ 'ㅂ' 불규칙 용언 : 눕다, 줍다, 돕다, 덥다, 춥다, 깁다, 접미사 '-답다, -롭다, -업다'가 붙는 말

        └ 'ㅂ' 규칙 용언 : 입다, 잡다, 뽑다, 씹다, 좁다

     ㉣ '르' 불규칙 : 어간 말음에 '르'가 모음 어미 앞에서 '으'가 탈락되면서 어간에 'ㄹ'이 하나 덧생기는 것

                   예) 흐르다, 흐르고, 흐르지, 흘러서, 흘러가, 흘렀다

        ┌ '르' 불규칙 용언 : 가르다, 나르다, 흐르다, 고르다

        └ '르' 규칙 용언 : 따르다, 치르다, 다다르다, 들르다

    ② 어미의 바뀜

     ㉠ '여' 불규칙 : '-아/-어'로 시작되는 어미가 '-여'로 바뀌는 것 예) 일하+아→일하여, 일하+았다→일하였다

       ○ '여'불규칙 용언: '하다'와 '일하다'등 '-하다'가 붙는 용언

     ㉡ '러' 불규칙 : '-아/-어'로 시작되는 어미가 '-러'로 바뀌는 것 예) 푸르+러→푸르러, 푸르+었다→푸르렀다

       ○ '러' 불규칙 용언: 이르다(至), 푸르다, 누르다(黃)

     ㉢ '거라' 불규칙 : 명령형 어미 '-아라/-어라'가 '-너라'로 바뀌는 것 예) 오+아라→오너라

       ○ '거라' 불규칙 용언: '오다'와 '-오다'가 붙은 용언

   ③ 어간과 어미의 바뀜 ('ㅎ' 불규칙)

      어간 말음이 'ㅎ'인 용언이 어미 '-아/-어'어와 결합할 때, 'ㅎ'이 떨어지고 그 어미도 변하는 것

      예) 파랗+아→파래, 빨갛+아→빨개

      ○ 'ㅎ' 불규칙 용언 : 어간 말음이 'ㅎ'이며, 색깔을 나타내는 형용사(파랗다, 빨갛다, 까맣다, 누렇다, 하얗다 등)

   ▶ 'ㅎ' 불규칙용언은 어미 '-ㄴ'과 결합할 때, 'ㅎ'이 탈락한다.(이 때에는 어간의 불규칙으로 취급한다.)

      예) 파랗+ㄴ→ 파란,  빨갛+ㄴ→빨간

   ▶ 어간의 불규칙

짓 ┬다 → 짓다      벗다    묻 ┬다 →묻다     닫다     돕 ┬다→돕다       입다  

    ├고  →짓고      벗고        ├고 →묻고     닫고         ├고→돕고        입고         

    ├어서→지어서 벗어서     ├어서→묻어서 닫아 서    ├아서→도와서 입어서

    └어라→지어라 벗어라     └어라→묻어라 닫아 라   └아라→도와라 입어라      
        ('ㅅ'불규칙)   (규칙)         ('ㄷ' 불규칙)  (규칙)         ('ㅂ' 불규칙)   (규칙) 

흐르 ┬다 → 흐르다   따르다
       ├고 → 흐르고   따르고
       ├어서→흘러서  따라서
       └었다→흘렀다  따랐다

         ('르' 불규칙)    (규칙)       

   ▶ '여' 불규칙    하 + 아 →  하  +  여

   ▶'러' 불규칙     푸르 + 어 →  푸르  +  러

        '러' 불규칙 용언은 '이르다', '푸르다', '누르다' 셋뿐이다.

   ▶'거라' 불규칙  가 + 아라  →  가  +  거라

   ▶'너라' 불규칙  오 + 아라  →  오  +  너라

   ▶'ㅎ' 불규칙의 두 가지 모습

        ① 어간의 바뀜         파랗+ㄴ → 파란        ② 어간과 어미의 바뀜  파랗+아 → 파래

 

  [ 10. 어미 ]

⑴ 어미의 갈래

   ① 어말 어미 : 단어 끝에 있는 어미. 그 자체만으로도 단어를 이룬다.  예), 하얗, 깨끗하

   ② 선어말 어미: 어말 어미 앞서는 어미. 선어말 어미는 반드시 어말 어미를 필요로 한다. 예)다, 입으다, 가으니

⑵ 어말 어미의 갈래

   ① 종결 어미 : 한 문장을 끝맺는 기능을 하는 어미

     ㉠ 평서형:어떤 일을 있는 그대로 설명하는 끝맺음 예) 철수가 공부를 한.

     ㉡ 의문형:질문을 하거나 의문을 나타내는 끝맺음  예) 철수가 공부를 하?

     ㉢ 명령형:상대방에게 어떤 일을 하도록 요구하는 끝맺음 예) 철수야, 공부를 하여라.

     ㉣ 청유형:상대방에게 어떤 일을 함께 하기를 요청하는 끝맺음 예) 철수야, 공부를 하.

     ㉤ 감탄형:말하는 사람의 느낌이나 놀람을 나타내는 끝맺음 예) 철수가 공부를 하는구나!

 평 서 형

 -다, -네, -오, -ㅂ니다, -느니라, -마, -렷다

 의 문 형

 -냐, -니, -가, -나, -ㅂ니까, -ㄹ까

 명 령 형

 -아라/-어라, -게, -오, -려무나

 청 유 형

 -자, -세, -자꾸나

 감 탄 형

 -구나, -구먼, -구려

   ② 연결 어미 : 문장을 끝맺지 않고 다른 낱말이나 다른 문장에 연결하여 주는 기능을 하는 어미

     ㉠ 대등적 연결 어미:두 문장을 대등하게 연결하여 주는 어미 예) 산은 높 바다는 넓다.  

     ㉡ 종속적 연결 어미:두 문장을 종속적으로 연결하여 주는 어미 예) 봄이 오니까 날씨가 따뜻하다.

     ㉢ 보조적 연결 어미:보조 용언을 본용언에 보조적으로 연결하여 주는 어미 예) 철수가 공부를 하 있다.

대등적 연결 어미

-고, -며, -나, -지만, -락-락, -거나-거나, -든지-든지, -거니-거니, -느니-느니, -면서

종속적 연결 어미

 -면, -거든, -니, -므로, -아야/어야, -는데, -더라도, -ㄹ망정, -러, -려, -토록, -ㄹ수록

보조적 연결 어미

 -아/-어, -게, -지, -고

   ③ 전성 어미 : 한 문장의 성질을 임시로 명사나 관형사처럼 바꾸어 주는 기능을 하는 어미

     ㉠ 명사형:한 문장의 성질을 임시로 명사처럼 바꾸어 주는 기능을 하는 어미 예) 철수는 공부하를 싫어 한다.

     ㉡ 관형사형:한 문장의 성질을 임시로 관형사처럼 바꾸어 주는 기능을 하는 어미 예) 공부를 하 영희의 모습이 예쁘다.

 명사형   어미

 -(으)ㅁ, -기

 관형사형 어미

 -(으)ㄴ, -는, -(으)ㄹ

⑶ 선어말 어미의 갈래

   ① 높임 선어말 어미 : 주체를 높여 주기 위하여 어간과 어말 어미 사이에 들어가는 형태소

                        예) 아버지는 조끼를 입으셨다.(입으었다.)

   ② 공손 선어말 어미 : 말하는 이가 말 듣는 이에게 공손한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어간과 어말 사이에 들어가는 형태소

                        예) 아버님께서는 만수무강 하소서.

   ③ 시제 선어말 어미 : 어떤 행위가 이루어진 때를 표시하는 선어말 어미. 관거, 현재, 미래를 표시하는 것이 있다.

                        예) 철수가 밥을 먹었다.(과거) 철수가 밥을 먹는다.(현재) 철수가 밥을 먹겠다.(미래)

 높  임

                    -시-

 공  손

 -옵-/-오-, -삽-/-사옵-/-사오-, -잡-/-자옵-/-자오-

 

 시  제

         

  과  거

 -았-/-었-, -었었-, -더-

  현  재

 -는-/-ㄴ-

  미  래

 -겠-

⑷ 선어말 어미의 배열 순서 : 둘 이상의 선어말 어미가 어울릴 때에는 대체로 '높임-시제-공송'의 순서로 나타난다.

   ① 높임 : -(으)시- ................. .. 가시다

   ② 과거 시제 : -(으)시었- ......... 가시었다

   ③ 추측 : -(으)시었겠- .............. 가시었겠다

   ④ 공손 : -(으)시었겠사오- ....... 가시었겠사오이다

   ⑤ 회상 : -(으)시었겠사옵더- ... 가시었겠사옵더라

⑸ 동사, 형용사, 서술격 조사의 차이

   ① 형용사는 '-ㄴ다/-는다'의어미를 취할 수 없다. 예) 열심히 책을 읽는다.(○) 매우 아름답는다.(×)

   ② 형용사는 '-아라/-어라'의 명령형 어미나 '-자'의 청유형 어미를 취하지 못한다.

      예) 책을 읽어라.(○), 매우 예뻐라.(×), 매우 예쁘자.(×)

   ③ 형용사는 '-(으)러', '-(으)려'와 같은 목적이나 의도를 나타내는 연결어미를 취할 수 없다.

      예) 책을 읽으러 떠났다.(○), 얼굴이 예쁘러 떠났다.(×)

   ④ '-(으)ㄴ'은 동사에서는 과거, 형용사에서는 현재 관형사형이 된다. 예) 책을 읽은 아이(과거), 얼굴이 예쁜 아이(현재)

   ⑤ 서술격 조사는 형용사와 활용 모습이 비슷하나 '로'가 첨가되는 일이 있다. 예) 벌써 가을이로구나!

  구     분

      종    결    어    미

 연  결  어  미

  전  성  어  미

평서형

  의문형

감탄형

명령형

청유형

 목  적

 의  도

관형사형

관형사형

 동      사

-는다

-ㄴ다

-느냐

-는가

-는구나

-아라

-어라

 -자

-(으)러

 

 -(으)려

 -는

 -은

 형  용  사

 -다

-(으)냐

-(으)ㄴ가

-구나

  ×

  ×

   ×

   ×

 -(으)ㄴ

   ×

 서술격 조사

 -다

-냐,  -가

-로구나

  ×

  ×

   ×

   ×

 -ㄴ

   ×

⑹ 불완전 동사 : 어미 결합에 제약이 있는 동사

                 예) 동생을 데리고 간다.(○) 동생을 데린다.(×) 동생을 데려랴.(×) 동생을 데리자.(×)

   ▶ 형용사와 서술격 조사에는 명령형, 청유형 종결 어미가 없다.

   ▶ 종결 어미에는 말 듣는 사람의 나이와 지위에 따라 상대방을 높이거나 낮추는 높임법이 있다. → 상대 높임법

   ▶ 대등적 연결 어미: '-고, -며, -나, -지만, -면서'등의 연결 어미는 문장을 대등하게 이어 주는 데에 쓰인다.

   ▶ 종속적 연결 어미:종속적 연결 어미는 그 수효가 많으므로 대등적 연결 어미와 보조적 연결 어미를 제외한 연결 어미라고 생각하면 된다.

   ▶ 보조적 연결 어미:보조적 연결 어미는 문장과 문장을 이어주는 것이 아니라 단어와 단어를 연결하여 준다.

   ▶ 전성 어미:전성 어미는 그 단어의 품사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예) 먹+음→먹음(동사)  먹+은→먹은(동사)  예쁘+ㅁ→예쁨(형용사)  예쁘+ㄴ→예쁜(형용사)
   ▶ 선어말 어미의 갈래

      높임 : -시-

      공손 : -사옵-

      시제 ┬ 과거 : -았/었-

             ├ 현재 : -ㄴ-/-는-

             └ 미래 : -겠-

   ▶ -더-: 회상법을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로 그 용법이 극히 제한된다. 예) 철수가 밥을 먹더라.

   ▶ -겠-: 주로 미래 시제를 나타내거나 의지, 추측, 가능의 뜻도 나타낸다.

           예) 내일은 꼭 가겠다.(의지) 내일은 비가 오겠다.(추측) 나도 그 일은 하겠다.(가능)

   ▶ 선어말 어미는 그 수가 몇 개 안 되므로 암기하여서, 어말 어미와 구분하도록 한다.

   ▶ 서술격 조사의 활용:서술격 조사의 활용도 동사, 형용사와 비슷하나 다음과 같은 어미는 서술격 조사의 활용에서만 보인다. 서술격 조사의 활용도 동사, 형용사와 비슷하나 다음과 같은 어미는 서술격 조사의 활용에서만 보인다.

      ① 종결 어미

         ○ 평서형 : -(이)올시다, -(이)로소이다    

         ○ 감탄형 : -(이)로다, -(이)로세, -(이)로구나    

      ② 연결 어미  

         ○ 대등 : -(이)요    

         ○ 방임 : -(이)라도    

         ○ 설명 : -(이)로되
   ▶ 불완전 동사: 극히 제한된 어미만을 취하여 활용이 제한된 동사를 가리킨다.

      예) 데리다→데리고, 데리러  가로다→가로되  달다→다오, 달라  다그다→다가  더불다→더불어, 더불고, 더불어서  

 

  [ 11. 본용언.보조 용언 ]

⑴ 본용언과 보조 용언의 뜻

   ① 본용언 : 보조 용언 앞에 놓여 보조 용언의 도움을 받는 용언

   ② 보조 용언:다른 용언들의 뒤에 기대어 그 말의 뜻을 도와 주는 용언 예) 꽃이 별로 예쁘지 아니하다.(본용언+보조용언)  

⑵ 본용언과 보조 용언의 연결 방법

   보조 용언은 보조적 연결 어미 '-아/-어, -게, -지, -고'를 매개로 하여 본용언에 연결된다.

    본용언의 어간 + 보조적 연결 어미 + 보조 용언

          성공하-             -게                   되었다

⑶ 본용언과 보조 용언의 구별방법

   본용언은 문장 중에서 제거하면 그 문장이 성립되지 않으나, 보조 용언은 그것을 제거해도 문장은 성립한다.

    예) 고향에 가고 싶다.  고향에 싶다.(×)  가고 → 본용언

                                     고향에 가다.(○)  싶다 → 보조 용언

⑷ 보조 용언의 갈래

   보조 용언은 그 품사를 구분하여 보조 동사와 보조 형용사로 나누어진다. 그 구별 방법은 일반 동사와 형용사의 구별 방법과 일치한다. 즉, 보조 형용사는 '-ㄴ다/-는다'의 어미를 취하지 못한다.

    예) 적어 두다 → 두 + ㄴ다 → 둔다(○) (보조 동사)

       가고 싶다 → 싶 + 는다 → 싶는다(×) (보조 형용사)

  ▶ 우리말의 보조 용언

    ① 보조 동사

      [사동] 하다 → 그리게 하다

      [피동] 되다 →  만나게 되다

      [부정] 아니하다 →  먹지아니하다

      [불가능] 못하다 → 뛰지 못하다

      [진행] 가다 → 잘 되어 가다,  오다 → 잘 지내 오다,  있다 → 내리고 있다

      [종결] 내다 → 견디어 내다,  버리다 →일을 해 버리다

      [시행] 보다 → 웃어 보다

      [봉사] 주다 → 도와 주다,  드리다 → 양보 해 드리다

      [당위] 하다 → 성실해야 한다

      [강세] 대다 → 웃어 대다

      [보유] 놓다 → 타일러 놓다,  가지다 → 공부해 가지고

    ② 보조 형용사

      [부정] 아니하다 → 높지 아니하다,  못하다 → 곱지 못하다

      [시인] 하다 → 곱기는 하다

      [희망] 싶다 → 가고 싶다

      [상태] 있다 → 눈이 쌓여 있다

      [추측] 보다 → 추운가 보다

 

  [ 12. 관형사 ]

⑴ 관형사의 정의 : 체언 앞에서 놓여서 그 말을 자세하게 꾸며주는 말

⑵ 관형사의 특징

    ①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 활용하지 않는다.

    ② 어떠한 경우에도 조사가 붙지 않는다.

    ③ 문장 속에서 관형어로만 사용된다.

    ④ 독립 품사로 다른 말과는 띄어 쓴다.

⑶ 관형사의 갈래

    ① 성상 관형사 : 체언의 성질이나 상태를 꾸며 주는 관형사

    ② 지시 관형사 : 지시적 성격을 띠고 있는 관형사

    ③ 수 관형사 : 뒤에 오는 명사의 수량을 표시하는 관형사

 

 형

 사

 성상 관형사

 새, 헌, 첫, 옛, 윗, 뒷, 온, 뭇, 한, 온갖, 갖은, 외딴, 오른, 왼, 참, 거짓...... 

 지시 관형사

 이, 그, 저, 요, 고, 조, 이런, 저런, 그런, 무슨, 어느, 딴, 아무......

 수(數)관형사

 한, 두, 세(석), 네(넉), 다섯, 여섯, 일, 이, 삼, 반, 전(全), 총(總)......

⑷ 관형사와 용언의 관형사형

관     형     사

용 언 의   관 형 사 형

 ① 시제 표시가 불가능하다. 예) 새(시제가 없음)

 ② 활용하지 않는다.

 ③ 품사 자체가 관형사이다.

 ④ 수식 기능만 가진다.

 ① 시제 표시가 가능하다. 예) 새로운(현재), 새로울(미래)

 ② 용언의 활용형이다.

 ③ 품사는 관형사가 아니다.

 ④ 수식 기능과 서술 기능을 동시에 가진다.

   ▶ 관형어와 관형사

       ① 관형어 : 체언을 수식하는 문장 성분

       ② 관형사 : 관형어 중 조사와 결합하지 않고, 어미 변화도 하지 않는 단어

품   사

성 분

  

 나의

 높은

 관형사

 대명사+조사

 어간+어미

  관형어

  관형어

  관형어

   ▶ '다른'의 품사

       ① 서술 기능이 있으면 → 형용사  예) 이것과 저것은 다른 책이다. ('저것은'의 서술어)

       ② 서술 기능이 없으면 → 관형사  예) 다른 책을 보자.

   ▶ 관형사와 접두사

관  형  사

접  두  사

 독립된 단어로 체언과 띄어 쓴다.    예)

 자립성이 없어서 띄어 쓸 수 없다.     예)

 

    [ 13. 부사 ]

⑴ 부사의 정의 : 주로 용언을 꾸밈으로써 그 의미를 더 분명히 해 주는 말

⑵ 부사의 특징

    ①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 활용하지 않는다.

    ② 보조사를 취할 수 있다.

    ③ 주로 용언을 꾸며 주지만 그 밖에도 여러 구실을 한다.

    ④ 문장에서는 주로 부사어이지만 문장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독립어 구실을 한다.

⑶ 부사의 갈래

    ① 성분 부사 : 주로 문장의 한 성분을 꾸며주는 부사

      ㉠ 성상 부사:상태나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

      ㉡ 지시 부사:장소나 시간 및 문장 안에서의 사실 등을 지시하는 부사

      ㉢ 부정 부사:용언의 내용을 부정하는 방식으로 꾸며 주는 부사

    ② 문장 부사 : 문장 전체를 꾸며주는 부사

      ㉠ 양태 부사:말하는 이의 태도를 표시하는 부사로, 문장 전체에 대한 판단을 내리는 부사

      ㉡ 접속 부사:성분과 성분, 문장과 문장을 이어 주는 부사

 

 

 사

  성분

  부사

 성상 부사

 잘, 급히, 가만히, 일찍, 이미, 갑자기, 너무, 퐁당, 출렁출렁, 옹기종기......

 지시 부사

 이리, 저리, 그리, 오늘, 내일, 어제......

 부정 부사

 아니(안), 못

  문장

  부사

 양태 부사

 과연, 설마, 만약, 제발, 진실로, 정녕......

 접속 부사

 그리고, 그러나, 및, 또는, 왜냐 하면......

   ▶ 부사의 기능

      ① 용언을 꾸민다.

        예) 글씨를 빨리 쓴다.(동사)   강이 매우 깊다.(형용사)

                          └─┘                         └─┘

      ② 관형사, 부사를 꾸민다.

         예) 몹시 책이다.(관형사)  매우 빨리 달린다.(부사)

               └─┘                            └─┘

      ③ 체언을 꾸미기도 한다.

         예) 조금 에 보자.(명사)  바로 가 범인이다.(대명사)  겨우 하나를 만들었다.(수사)

                └─┘                       └─┘                                  └─┘

      ④ 구나 절을 꾸미기도 한다.

         예) 오로지 그의 덕택으로 살았다.(구)  

                    └─┘

      ⑤ 문장 전체를 꾸민다.

         예) 제발, 그만 두십시오.(문장)

                 └─┘

 

  [ 14. 감탄사 ]

⑴ 감탄사의 정의 : 말하는 사람의 부름, 느낌, 놀람이나 대답을 나타내는 단어

⑵ 감탄사의 특징

   ① 형태가 고정되어 있어 활용하지는 않는다.

   ② 조사가 붙지 않으며, 문장에서 독립어가 된다.

   ③ 주로 문장 앞에 놓이나, 경우에 따라서 문장의 중간이나 문장의 끝에 올 수 있다.

⑶ 감탄사의 갈래

 

 탄

 사

느낌

감정

 아, 아차, 아하, 허허, 아이고, 예끼, 아무렴......

의지

 어라, 자, 천만에, 옳지, 좋다, 그렇지, 옛다......

호응

부름

 여보, 여보세요, 여보게, 얘......

대답

 예, 그래, 오냐, 글쎄, 글쎄올시다......

⑷ 관형사, 부사, 감탄사의 비교

 

관     형      사

부        사

감      탄      사  

 공통점

                      ① 형태가 고정되어 활용하지 않는다.

                      ② 독립 품사로서 다른 말과 띄어 쓴다.

                      ③ 문장에서 한 가지 기능을 한다.

 차이점

① 체언을 꾸민다.

② 조사를 취할 수 없다.

③ 항상 체언에 의존해 사용 된다.

④ 문장에서의 성분은 관형어이다.

① 용언을 꾸민다.

② 조사를 취하기도 한다.

③ 단독으로 문장을 형성하기도 한다.

④ 부사어, 독립어로 쓰인다.

① 문장을 독립적이다.

② 조사를 취할 수 없다.

③ 단독으로 문장을 형성하기도 한다.

④ 문장에서 항상 독립어로 쓰인다.

   ▶ 감탄사의 판별

     ① 원칙적으로 조사를 붙일 수 없다.

     ② '체언+조사'의 형태이나, 하나로 굳어진 형태는 감탄사로 다룬다.

        예) 정말로(정말+로), 얘(이 아이야), 웬걸(웬 것을), 뭐(무엇)

     ③ 실제적인 이름으로 상대방을 부르는 소리는 감탄사가 아니다. 예) 철수야, 학교에 가자.

     ④ 문장 머리에 놓인 제시어 및 표제어는 감탄사가 아니다. 예) 연필, 그것은 꼭 필요한 학용품이다.

     ⑤ '구구(닭 부르는 소리), 이랴(소 모는 소리) 등 동물을 부르는 소리는 감탄사이다.

     ⑥ 보통 명사가 하나의 문장대신에 쓰이면서 말하는 이의 놀람이나 느낌을 나타낼때에는 감탄사가 된다.

       예) 불!(불이 났다.)

 

⊙단어의 짜임

 

        [1.문장과 단어]                              

⑴어 절:말할 때에 꼭 붙여 발음하는, 그사이에 휴식을 둘 수 없는 단위로 보통 띄어쓰기의 단위와 일치한다.

      잣나무에  잣이  많이  열었다. 
  ▶어절은 띄어쓰기의 단위와 일치하며, 문장 성분의 단위가 된다.

⑵단 어:일반적으로 자립하여 쓰일 수 있는 말의 단위를 가리키는 데, 하나 이상의 형태소로 구성된다. 조사는 그 특이한 성격 때문에 단어로 인정한다. 결국 하나의 문장 안에서 단어의 수는 품사의 수와 일치된다.

      -나무-  -  많이  열었다.

  ▶단어는 띄어쓰기의 단위와 대부분 일치하나, 조사만이 앞단어에 붙여 쓴다. 단어의 개수= 띄어쓰기의 개수+조사의 개수  
⑶형태소:뜻을 가지고 잇는 가장 작은 말의 단위. 그러므로 더 이상 분석하면 뜻을 잃어 버리게 된다.

  ▶용언의 어간과 어미는 각각 하나의 형태소로 취급한다.

⑷단어의 형성

  ①단일어:하나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예) 보리,짐승,시나브로,집,떡,나무                 

  ②복합어:둘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파생어:어근(실질 형태소)과 접사(형식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   예) 맨손,덧저고리,돌배,새파랗다,지붕(집+웅)

    ㉡합성어:둘 이상l 어근(실질 형태소)으로 이루어진 단어       예) 떡국,손발,곧잘,돌다리,들짐승,오가다,검붉다

 

        [2. 파생법으로 형성된 단어]

⑴어근과 접사

  ①어근:단어를 분석했을 때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는중심 부분

  ②접사:어근에 붙어 그 의미를 더하는 부분              

       예)  +  버선  ,  +   사귀                    

          (접사)  (어근) (어근)  (접사)                  

    ㉠접두사:어근 앞에 붙는 접사                         

    ㉡접미사:어근 뒤에 붙는 접사                         

 ▶용언의 단어의 갈래: 용언은 그 어간만으로 단어의 단어의 갈래를 따진다.

   ·먹다:어간 '먹-'이 하나의 형태소로 이루어짐→단일어

   ·시퍼렇다:접두사 '시-'와 어근 '퍼렇-'으로 이루어짐→파생어

   ·검붉다:어간이 '검-'과 '붉-'의 두 어근으로 이루어짐→합성어

 ▶어근과 접사의 결합:어근와 접사가 결합하여 파생어가 될 때 소리가 바뀌는 일이 있다.

   예) 바늘+질→바느질,값+어치→갑어치,걷+음→걸음

⑵접두사에 의한 단어의 파생

  ①접두사의 특징:뒤에 오는 어근의 의미만 제한할 뿐,품사를 바꾸지 않는다.

    ▶용언에 붙은 접두사

   깔-:깔보다    숫-:숫되다     낮-:낮보다    얕-:얕보다   늦-:늦되다    엇-:엇나가다    돋-:돋보다    엿-:엿보다    되-:되묻다    짓-:짓누르다    드-:드높다    치-:치받다    빗-:빗나가다  시-:시꺼멓다

  ②접두사에 의한 단어의 파생                           

    ㉠접두사+체언:스물,살구,저고리               

    ㉡접두사+동사:보다,나가다,누르다             

    ㉢접두사+형용사:빨갛다,퍼렇다                  

    ㉣접두사+부사:먼저,따로                         

  ③접두사의 종류                                    

    [금시] 갓-:갓스물  [미숙] 선-:선무당 [순수] 숫-:숫처녀  [야생] 개-:개살구  [순수] 알-:알밤 [가외] 군-:군불

    [처음] 애-:애호박  [미숙] 날-:날고기  [겹침] 덧-:덧니    [야생] 돌-:돌배 [참됨] 참-:참기름  [야생] 들-:들깨

    [처음] 첫-:첫사랑  [미숙] 풋-:풋고추   [솜둔] 핫-:핫바지  [짝 없는] 홀-:홀아비      

⑶접미사에 의한 단어의 파생                           

  ①접미사의 특징:접미사는 접두사와는 달리, 어근에 뜻만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품사를 바꾸는 일도 한다.   

  ②명사로 파생

    ㉠어근의 뜻만 제한:명  사 + 접미사 →명  사         

      예) 사람, 너, 도둑, 육손, 일, 털, 잠꾸러기, 가난뱅이, 선생, 마음, 잎사귀, 이파리(잎+아리), 모가지(목+아지), 값어치, 모양, 눈

    ㉡용언의 어간에 붙어 명사로 파생 : 용언의 어간 + 접미사 →명  사                 

      예) (꾸+),놀,노래(놀+),덮,읽,열,나머지(남+어지),거멍(검-+-),검,무덤(묻-+-),마중(맞-+-)

      ▶용언의 어간에 붙어서 명사를 파생시키는 접미사

[-(으)ㅁ] 꿈,잠,춤,울음,걸음  [-이] 갈이,놀이,높이   [-애] 노래,나래 [-개] 날개,덮개,베개   [-기] 쓰기,읽기   [-매] 열매   [-어지] 나머지 [-다리] 늙다리   [-엉] 거멍   [-정] 검정   [-웅] 마중

    ▶접미사와 어미

 

 어  미

접미사

결 합

거의 모든  어간과 자유롭게 결합

결합이 매우 제한적

역 활

다른 말과의 관계만을 표시

어근에 어떤 뜻을 덧붙이거나 품사를 바꾸기도 함

보 기

높게,깊게, 길게,짧게

높이,깊이, 짧이,작이

  ③동사로 파생

    ㉠어근의 뜻만 제한: 동  사 + 접미사 →동  사 예)뜨리다,떨

    ㉡품사가 바뀜                                   

      ·명  사 → 동  사  예)다,눈물다               

      ·형용사 → 동  사  예)다,높다,낮다          

      ·부  사 → 동  사  예) 덜렁거리다,울렁거리다              

    ㉢문장의 구조와 의미가 바뀜                                 

      ·동  사 → 사동사  예)다,입다,울다,웃다,달다,맞다              

      ·동  사 → 피동사  예)다,막다,팔다      

  ④형용사로 파생

    ㉠어근의 뜻만 제한    형용사+접미사→형용사   예)다랗다,깊숙하다,높직하다,달콤하다,차

    ㉡품사가 바뀜                                     

    ·명  사 → 형용사  예) 대견스럽다,학생다,슬기다,차다      

    ·동  사 → 형용사  예) 미덥다(믿++다),아깝다(아끼++다),아프다(앓++다),그립다(그리+ㅂ+다)

    ·관형사 → 형용사  예)다                   

    ·부  사 → 형용사  예) 차근차근다             

 ▶접미사'-답-','-롭-','-스럽-'

  ['-답-']'어떤 자격이 있다'를 의미하는데 대개 사화적으로나 윤리적으로 긍정적 의미가 내포된다. 예) 학생답다.교수답다

  ['-롭-']추상성을 띤 모음으로 된 말과 결합된다. 구체적 대상을 지시하거나 자음으로 된 말에는 쓰이지 않는다.

  ['-스럽-']어떤 성격에 근접했음을 표시한다. 예) 어른스럽다

  ⑤부사로 파생                                       

      ·동  사 → 부  사   예) 마주(맞+),비로소(비롯+), 도로(돌+),차마(참+)                    

      ·형용사 → 부 사    예),길,조용,급,없,                

      ·명  사 → 부 사    예) 마음,나날,끝,진실,분명          

  ⑥접미사의 표기                                     

    ㉠어근에 원형을 밝히어 적는 것      예),먹,높다,잡다                    

    ㉡어근에 원형을 밝히지 않는 것  예) 귀머거리(귀먹+어리),마개(막+애),너무(넘+우),자주(잦+우),이파리(잎+아리),바가지(박+아지),개구리(개굴+이)

    ▶접미사'-이,-히'의 표기법

      ①'-하다-'가 붙는 말에는 '-히'를 붙인다. 예) 고요히

      ②'-하다'가 붙지 않는 말이더라도 발음대로 '-히'를 붙이기도 한다. 예) 극히,작히

      ③'-하다'가 붙더라도 다음 말은 '-이'를 붙인다. 예) 깨끗이,뚜렷이,지긋이

      ④'-하다'가 붙지 않는 말에는 '-이'를 붙인다. 예) 가벼이,낱낱이

 

        [3.합성법으로 형성된 단어]                                            

 ▶합성어와 구(句)의 구별

 

작은형(합성어)

작은 형     (구)

서술성

'작은'에서술성이 없다.

'작은'에 서술성이 있다.

분리성

'작은'과'형'이 분리 될 수 없다.

작은'과'형'이 분리 될 수 있다.

의  미

뜻이 '맏형이 아닌 형 (복수화)     

뜻이 '키가 작은 형(일반화)

 ▶통사적 합성어:두 어근이 걸합할 때 그 결합 방식이 우리말의 일반적인 배열법과 일치하는 것

   예) 고무신,어ƒ틉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