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스크랩] (1)작품 수용의 능동성 -정읍사(행상 나간 남편의 안전..
>▣01문학 작품의 수용 방법
>
>-(1)작품 수용의 능동성
|
|
|
고대가요 : 정읍사(井邑詞) ~ 어느 행상인의 처 |
-작품에 대한 자세한 분석은 고전문학(고전운문 -고대가요)에서 확인하세요.
▣ 작품 분석 및 문제 해설
* 달하 : 달(月)님이시여. 여기서의 달은 모든 것을 아는 천지신명 또는, 절대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민속 신앙과도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음. '하'는 고려 시대까지는 존비(귀하고 천함)의 구별이 없이 쓰이다가 조선 시대에 와서 극존칭 호격 조사로 쓰임
* 노피곰 도다샤 : 높이 높이 돋으시어, 높(어근)+이(부사화 접미사)+곰(강세 접미사) * '노피'의 부사에 '곰'이 붙어서 뜻을 강조함
* 머리곰 : 멀리멀리, 멀리멀리까지 * 멀(형용사의 어간)+이(부사화 접미사)+곰(강세 접미사)
* 비취오시라 : 비치어 주십시오 * 비취고시라>비취오시라(ㄱ탈락). ~ 고시라 : 명령형 어미 : 달에게 남편의 무사함을 청원하는 아내의 걱정스런 마음이 표현되어 있으며, 남편이 가는 길에 달빛을 환히 비춰주라고 기도한다.
* 어긔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 : 악률에 맞추어 부르는 뜻 없는 소리로 '어기여차'와 같은 의미의 조흥구
* 져재 : 저자에, 시장에. ㅣ모음 뒤에만 오는 처소부사격조사 '예'가 생략된 형태. 또는 '後腔全 져재'의 '全 져재'를 붙여서 '전주시장에'로도 해석하는 이도 있음.
* 녀러신고요 : 가 계신가요. 녀(동사 어간으로 行의 의미) +러(회상시제선어미)+시(형용사 어간)+ㄴ고요(의문형어미)
* 즌 : 진. 즌( '즐다'의 관형사형)기본형은 '즐다' ※ 즐다>질다(전설모음화)
* 되(ㄷ+아래아+ㅣ: 의존 명사)랄 : 뎨(곳) 여기서 즌되는 위험한 곳을 의미
* 드되욜세라 : 디딜까 두렵다 ※ 드되(어간) + 요(삽입 모음)+ㄹ세라(경계의 평서형종결어미) : 남편의 안전에 대한 아내의 걱정(야행침해 : 밤에 다니다가 곤란한 일을 겪는 것)이 구체적으로 나타난 구절이다. ‘즌 되’는 밤길이 남편에게 닥칠지도 모르는 위협이나 위험을 비유한 말로, 남편의 무사를 비는 아내의 간절한 마음이 잘 나타나 있다. 어떤 이는 '즌 데'를 더러운 곳, 즉 남편이 가서는 안 될 곳(사창가)이란 뜻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 어느이다 : 어느 곳에다, 어느 곳에다가, 어느(대명사)+이(처소격 조사'ㅣ'의 속철)+다(어미)
* 노코시라 : 놓으십시오. 놓(어간) + 고시라(높임의 명령형종결어미)
* 내 : 남편, 임. '내'가 곧 남편임은 부부는 일체임을 나타낸 것. * 나(대명사)+ㅣ(주격 조사)
* 가논 : 가는 * 가+나(현제시제 선어말 어미)+오(삽입 모음)+ㄴ(관형사형어미)>가논
* 졈그랄셰라 : 저물까 두렵다. ※ 졈글다(日暮)>저물다>저믈다>저물다 : 졈글다를 '잠기다'로 해석하여 '나쁜 곳으로 빠져 들어간다'로도 봄.
* 어긔야 내 가논 데 졈그랄셰라 : 남편이 가는 곳에 해가 저물어 집에 오기 힘들까 두려워 하는 남편이 무사히 집으로 돌아오기만을 기원하는 아내의 마음이 담겨 있다. 여기서 ‘내’라는 단어는 나(아내)와 남편이 동일시된 표현이다.
(1) 작품 선정의 취지
- 이 작품은 현전하는 유일한 백제의 가요이자 한글로 기록되어 전하는 최고(最古)의 노래이다. 이 노래는 시어의 함축적 의미를 어떠한 관점에서 파악하느냐에 따라 시적 화자의 성격이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어, 작품의 의미를 능동적으로 구성해 내는 활동을 하기에 적합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을 통해 학생들은 작품 속에 나타난 표현이나 구성의 아름다움을 파악하는 일뿐만 아니라 자신의 경험이나 가치에 비추어 현대적 시각에서 시적 화자에 대한 평가를 다양하게 해 봄으로써 작품을 능동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기르게 될 것이다.
(2) 지도의 핵심
- 이 단원은 학생들이 자신의 경험이나 가치에 비추어 작품의 의미나 가치를 능동적이고 다양하게 해석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교사는 학생들이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하여 학습목표를 성취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그리고 작품을 능동적으로 수용하되, 자의적으로 해석하거나 다른 독자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소규모 모둠 학습이나 발표 학습을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3) 작품연구
- 이 작품은 어느 행상인의 아내가 남편을 기다리면서 걱정하는 마음을 달에 의탁하여 노래한 백제 가요이다. 정읍은 전주의 속현으로 그 고을 사람 가운데 행상을 하는 사람이 있었는데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자 그의 아내가 산 위의 바위에 올라가 남편 간 곳을 바라보다 이 노래를 불렀다는 기록이 고려사악지 에 전한다. 노래의 전문이 실린 곳은 1493년에 편찬된 '악학궤범'으로 이 노래가 고려 시대를 거쳐 조선 시대에도 불리어져서 국문으로 표기된 것으로 보인다.
이 노래를 현대어로 풀이하면 다음과 같다.
달님이시어, 높이 높이 돋으시어
아아, 멀리 좀 비추어 주십시오.
저자에 가 계십니까?
아아, 진흙탕을 디딜까 두렵구나.
어느 곳에나(무거운 짐을 풀어)놓으십시오
아아, 내 임이 가는 곳에 (날이) 저물까 두렵구나.
이 작품은 고려 조선조를 통하여 속악(俗樂)의 하나로 오랫동안 궁중에서 연주되었으며, 특히 조선조에 들어서서는 섣달 그믐달, 궁중 나례(儺禮) 뒤에 처용무(處容舞), 봉황음(鳳凰吟), 삼진작(三眞勺), 북전(北殿) 등과 함께 연주되었다.
이 작품과 유사한 주제를 가진 작품으로 기한이 넘도록 돌아오지 않는, 부역 나간 남편을 기다리는 노래인 백제의 부전 가요 선운산가 와 박제상의 아내가 치술령에 올라가 남편을 기다리면서 부른 노래인 신라의 부전가요 치술령곡을 들 수 있다. 특히, 치술령곡 은 정읍사와 마찬가지로 배경 설화에 망부석의 모티프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모티프는 김소월의 초혼(招魂)에 이어지고 있다.
▣ 학습활동
◐ 친해지기
이 노래는 행상인 남편이 무사히 귀가하기를 바라는 아내의 간절한 마음을 잘 표현한 작품이다. 하늘에 높이 떠서 만물을 밝혀 주는 존재인 달에게 의탁하여 자신의 소망을 기원하는 것은 어둠 속에서 빛을 발하는 속성을 지니고 있는 달의 이미지나 상징성에서 나온 것이다. 그리고 달에게 소원 성취를 기원하는 우리의 전통적인 풍속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1. 자신이 간절히 바라는 바를 이루게 해 달라고 기원하는 대상이 있으면 말해 보자.
지도 방법 : 이 활동은 이 작품의 시적 화자의 행위와 관련해서 학생들의 경험을 물음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이 작품의 성격과 시적 화자의 태도를 생각해 보게 하기 위한 활동이다. 누구나 자신이 바라는 바를 이루게 해 달라고 기원하는 대상이 있을 수 있는데, 그 대상은 사람이나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점도 주지시킬 필요가 있다.
예시 답안 : 우리 가족의 건강과 행복에 대한 기원에서부터 이루고 싶은 작은 소망에 이르기까지 무엇인가를 간절히 바라고 있을 때에는 구체적인 대상은 아니지만 막연하게나마 신(神)에게 그것을 이루게 해 달라고 기원하곤 한다.
◐ 꼼꼼히 읽기
1. 이 작품에서 남편이 행상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근거를 찾아보자.
지도 방법 ; 이 활동은 학생들이 이 작품을 자의적으로 해석하지 않도록 작품 속에서 근거를 찾아 시적 정황을 파악하게 하기 위한 활동이다. 한글로 표기는 되었지만 고어(古語)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어렵다고 생각하여 흥미를 잃기 쉬우니, 적절한 고어 풀이를 통해서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적극적으로 활동에 임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풀이 : '져재 녀러신고요(저자[市場]에 가 계십니까?)', '어느이다 노코시라(어느곳에나(무거운 짐을 풀어)놓으십시오.)' 등으로 보아 시적 화자의 남편은 행상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이 작품에 사용된 '달'의 상징적 의미를 말해 보자.
지도방법 : 이 활동은 시어의 상징적 의미를 파악하는 활동이다. '달'의 상징적 의미를 파악하게 되면 이 작품의 성격과 시적 화자의 태도도 아울러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달'의 상징적 의미를 파악하는 데에서 끝나지 않도록 하고, '달' 의 상징적 의미를 바탕으로 이 작품의 성격과 시적 화자의 태도를 함께 파악하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풀이 : '달'은 시적 화자가 간절히 바라는 바를 이루게 해 달라고 기원하는 대상으로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안녕의 수호자, 광명(光明), 천지신명(天地神明)의 상징이고, 시적 화자와 시적 대상인 남편 사이를 이어주고 그 거리를 좁혀 주는 매개체이기도 하다. '달'의 이러한 의미로 보아 이 작품의 시적 화자는 남편이 무사히 귀가하기를 바라는 간절한 소망을 노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도우미
'달'의 원형적 이미지 : 달은 찼다가 기울고, 기울었다가 다시 차는 속성을 가진 자연물로, 분리와 합일, 충일(充溢)과 이지러짐의 이미지를 갖는다. 또한 어둠 속에서 빛을 발하는 속성으로 소망과 기원의 이미지도 내포하고 있다.
문학 제재로서의 '달'의 이미지
기원의 대상 : '정읍사', '원앙생가' - 남편의 안위를 '달'에 기원, 애틋한 기원의 대상
애상의 대상 : 이조년의 시조 - 봄 밤의 애상적 정서를 표현
우러름의 대상 : '찬기파랑가' - 기파랑의 인품을 '달'에 비유하여 추모
서정적 분위기 조성 : 이호우의 '달밤'
◐ 탐구 / 다양한 관점에서 작품 감상하기
이 노래는 백제의 민요가 조선 시대에 이르러 국문으로 표기된 것으로, 시적 화자를 어떠한 사람으로 보느냐에 따라 다양한 감상이 가능하다.
견해 1 : '고려사악지(高麗史樂志)'에 전하는 배경 설화를 바탕으로, 행상 나간 남편의 야행 침해(夜行侵害)를 염려하는 아내의 정성을 나타낸 사랑의 노래로 볼 수 있다.
견해 2 : 고려 가요 '동동(動動)'과 함께 남녀간음지사(男女姦淫之詞)라 하여 폐기되었다는 '중종 실록(中宗實錄)'의 기록을 바탕으로, 행상 나간 남편이 다른 여성과 사랑에 빠지지나 않을까 하는 의구심과 질투를 드러낸 속된 노래로 볼 수 있다.
지도 방법 : 작품 수용에 있어서 판단 근거를 어디에 두고 작품을 감상하느냐에 따라 시구의 의미나 작품 전체의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리고 위에 나타난 견해를 바탕으로 시구의 의미나 작품 전체의 의미를 해석해 보도록 하고, 자신의 경험이나 가치에 비추어 어떠한 견해가 과연 타당한지도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다.
3. 이 작품 해석에 대한 위의 견해를 참고하거나, 자신의 경험이나 가치에 비추어 다음 시구들의 의미를 다양하게 해석해 보자.
(1) 즌되를 드디욜셰라 :
(2) 내 가논데 졈그를셰라 :
지도 방법 : 이 활동은 서로 다른 견해를 바탕으로 시구들의 의미를 해석해 보고, 자신의 경험이나 가치에 비추어 다양한 해석을 해 보게 하는 활동이다. 따라서 교사는 다양한 해석을 유도하되, 지나치게 자의적인 해석이 되지 않도록 지도해야 한다. 아울러 어떠한 해석이 타당한지를 생각해 보게 할 필요도 있다.
예시 답안 :
(1) ① '즌데'는 '진 데' , '진 곳' , 즉 '수렁물(진창물)이 고인 곳' 이고, '드디욜셰라'는 '디딜까 두렵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남편이 밤에 다니다가 도둑이 침해나 입지 않을까 두렵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②는 '즌 데'는 '수렁물(진창물)이 고인 곳' 이지만 상징적으로는 주색(酒色) 또는 화류항(花柳巷)을 비유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따라서 '남편이 수렁과 같은 주색에 빠지면 어쩌나 두렵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다.
(2) ① '내 가논데'는 ' 내가 가는 곳(가는 길)'. '내가 가는 길'. '남편이 오는 길'이고, '졈그 셰라'는 '저물까 두렵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남편을 마중하러 나가는 길(남편이 돌아오는 길)이 어두워질까 두렵다.'고 남편의 무사 안전을 걱정하는 뜻으로 해석할 수 도 있다.
② '날이 저물다'라는 말은 있어도 '달이 저물다'라는 말은 쓰이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저물게(곧 어둡게)되는 것은 '나의 님' 곧 '남편의 마음'이라고 보고, '내 가논 데'를 내가 살아가는 곳, 즉 인생의 전도(前途)로 해석하여 '남편과 나의 인생의 전도가 어두워질까 두렵다'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 다음 작품을 읽고, 이 작품과 '정읍사'에 공통적으로 나타나 있는 전통적 여인상에 대해 설명해 보자.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영변(寧邊)에 약산(藥山)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
가시는 걸음 걸음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 김소월, 「진달래꽃」
지도 방법 : 김소월의 '진달래꽃'과 '정읍사'에 공통적으로 나타나 있는 전통적 여인상을 찾아보는 활동이다. 먼저 교사는 학생들에게 우리의 전통적 여인상의 어떠한 모습인지를 떠올려 보게 한 다음, 각각의 작품에 나타난 시적 화자가 시적 대상인 사랑하는 사람이나 남편에게 어떠한 태도를 취하는가에 주목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풀이 :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속에서 우리의 전통적 여인상은 희생, 사랑, 순종, 인고의 미덕을 가진 여인들이었다. '진달래꽃'의 시적 화자는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시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영변에 약산 진달래꽃을 아름 따다 뿌리겠다고 말하고 있고, '정읍사'의 시적 화자는 남편이 무사귀가하기를 달에게 간절히 기원하고 있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 '진달래꽃'의 시적 화자나 '정읍사'의 시적 화자는 모두 '순종, 고귀한 사랑'을 가진 전통적 여인상을 대변하는 인물이라 할 수 있다.
◐도우미
김소월의 '진달래꽃' 사랑하는 임과 이별의 상황을 상정하고 임에 대한 변함 없는 사랑을 반어적으로 고백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작품이다. 민족적인 한(恨)의 정서와 민요조의 전통적 운율이 정교하게 결합되어 한국 서정시의 절조(絶調)로 평가된다. 학생들과 함께 한국의 전통적 정서를 함께 생각해 보는 활동도 가능한 작품이다.
전통적 여인상이라고 평가받던 인물들을 현대적 시각에서 보면 본받을 점도 있고, 비판할 점도 있다. 본받을 점고 비판할 점이 무엇인지 토론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의 여성이 갖추어야 할 덕목이나 삶의 자세에 대하여 정리해 보자.
▣ 표현하기
지도 방법 : 이 활동은 전통적 여인상이라고 평가받던 인물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오늘날 현대 여성이 갖추어야 할 덕목이나 삶의 자세를 생각해 보게 하는 활동이다. 먼저 전통적 여인상이라고 평가받던 인물들을 옹호하는 그룹과 이들을 비판하는 그룹을 나누어 지정해주고, 근거를 제시하여 자신의 입장을 지지하거나 상대방의 입장을 반박하도록 지도한다. 토론이 끝나면 각자가 이 토론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현대 여성의 조건에 대해 정리하도록 지도한다.
예시 답안 :
본받을 점 : 희생, 사랑, 순동, 인고의 미덕을 가진 여인들로, 자신의 편안함보다도 가족의 편안함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현모양처(賢母良妻)의 길을 꿋꿋이 걸어옴으로써 가족의 평화와 사랑을 지켜왔다.
비판 할 점 : 무조건적인 순종이나 희생으로 일관함으로써 가부장적 전통의 불합리한 요소를 타파하지 못하고 언제나 여성은 종속적이고 열등한 존재라는 굴레 속에서 자신의 인간적인 삶을 포기한 결과를 낳았다.
현대 여성이 갖추어야 할 덕목이나 삶의 자세 : 현대는 가부장적 전통의 불합리한 요소가 어느 정도 깨어졌고, 능력 있는 여성이라면 사회 진출이 얼마든지 가능한 시대가 되었다. 따라서 여성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인성 이외에 능력, 당당함 등을 갖추어 남녀 평등의 정신을 적극적으로 실천해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