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나는

[본문스크랩] 02 문학의 기능과 가치 -(2)문학의 가치

심자한 2010. 3. 7. 03:51

(2) 문학의 가치


- 문학 작품도 다른 예술 작품과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가치를 담고 있다. 모든 문학 작품에는 작가의 철학이나 사상이 녹아 있게 마련이다. 작품에는 작가의 세계관이 반영되어 있고, 작가는 개성적인 인간형을 창조하여 그와 같은 세계관을 대변하도록 하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특정 작품이 탄생하기까지의 역사적, 사회적 배경이 또한 일정한 가치를 담을 것을 요구하기도 한다. 개화기의 문학 작품들이 문명 개화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든지, 일제 강점기의 문학 작품들이 조국 독립의 가치와 필요성을 강조한다든지 하는 것 들이 좋은 예가 될 것이다.


- 특정한 문학 작품이 담고 있는 가치는 시대에 따라 그 평가가 달라질 수 있다. 창작 당시에는 절실하게 요구되었던 가치였다 하더라도 후대에 와서 그 가치에 별로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없는 경우도 있을 것이고, 반대로 창작 당시에는 대수롭지 않게 여겨졌던 작품이지만 후대에 와서 그 가치가 새롭게 평가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독자의 입장에서는 보편성과 타당성을 중심으로 작품의 가치를 평가하되, 개개의 작품이 제기하고 있는 가치가 현실 상황에 얼마나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인가가 평가의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다.

 

- 또 문학 활동은 언어적, 문화적 실천 활동이다. 문학은 단순히 작품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문학적 언어 및 문학 문화와 관련하여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활동 속에서 존재한다는 것이다. 미술의 경우로 바꾸어 생각해 보자. 우리는 미술을 교과서나 미술관에서만 접하는 것이 아니다. 각종 매체의 광고, 디자인, 조경 등 우리 생활의 모든 분야에 미술이 자리잡고 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문학 활동은 작품의 이해와 감상에서 더 나아가 창작과 응용의 단계에까지 이어져야 한다.


1. 가치의 개념

 주관 및 자기의 욕구, 감정이나 의지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것


2. 가치의 유형

(1) 물질적 가치

(2) 정신적 가치 - 1. 논리적 가치 2. 윤리적 가치 3. 심미적 가치 4. 종교적 가치


3 문학 작품의 가치

(1) 윤리적 가치

1. 윤리적 가치 : 작품에 담겨 있는 생각이 윤리적인 가치 기준에 얼마나 부합되는가?

2. 윤리적 가치 판단의 예

작품 속에 반영된 가치가 오늘날에도 본받을 만한 것인가?

작가의 인생관이나 가치관 등이 과연 공감할 수 있는 것인가?


(2) 심미적 가치

1. 심미적 가치 : 언어가 지닌 미적 요소를 바탕으로 독자의 쾌락적 욕구를 얼마나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표현인가?

2. 심미적 가치 판단의 예

작가가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얼마나 생생하게 형상화하고 있는가?

작품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주제의 형상화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가?

관점, 소재, 표현 등이 얼마나 참신한가?


■ 정리


1. 문학은 인식적, 윤리적 미적 측면에서 개인의 삶의 질을 고양시켜 준다.

2. 같은 문학 작품을 함께 이해하고 수용하는 사람들끼리는 같은 문학 공동체에 속해 있다는 짙은 유대감을 느끼게 된다.

3. 문학은 가치의 산물이다. 작품에는 작가의 세계관이 반영되어 있기도 하고, 특정한 시대의 가치관이 반영되기도 한다.

4. 문학 활동은 언어적, 문화적 실천 활동이다. 문학적 언어 및 문학 문화와 관련하여 아루어지는 구체적 활동 속에 존재한다.




■ 다음 작품을 읽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집方席(방석) 내지 마라 落葉(낙엽)엔들 못 안즈랴.

솔불 혀지 마라 어제 진  도다온다.

아야, 薄酒山菜(박주산채)ㄹ망졍 업다 말고 내여라.   - 한호의 시조


(1) 이 작품에서 형상화하고 있는 가치는 무엇인가?

지도 방법 : 이 활동은 문한 작품의 가치를 추출해 보고, 그것을 현실 상황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가를 판단해 보기 위한 활동이다. 낙엽, 달, 박주산채 등의 소재를 통해서 형상화하려는 바가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도록 한다. 특히 대조되고 있는 소재인 짚방석이나 솔불도 소박하고 가난한 삶을 연상시킨다는 점에 착안하도록 유도한다.


풀이 : 안빈낙도(安貧樂道)


참고 : 집方席(방석) 내지 마라~ 이작품은 한석봉으로 잘 알려진 한호의 시조로 안빈낙도를 형상화한 작품이다. 집방석과 낙엽, 솔불과 달과 같이, 인공물과 자연물을 대비시키면서, 자연을 벗삼는 삶의 즐거움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2) 현대적 관점에서 이 작품이 담고 있는 가치에 대해 자유롭게 평가해 보자.

지도 방법 : 이 활동은 옛 작품 속에 담긴 가치가 현실 상황에서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가를 판단해 보기위한 활동이다. 가급적 학급을 몇 개의 모둠으로 나누어 공동 협의 과정을 거쳐 과제를 해결해 가도록 유도한다. 모둠별로 긍정적으로 평가할 것인지, 부정적으로 평가할 것인지를 먼저 결정하도록 한 다음, 각각의 주장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근거를 반드시 제시하여 평가 하도록 지도한다.


-▶답안 : 저는 이 작품에서 강조하고 있는 안빈낙도의 가치관에 충분히 공감합니다. 모든 것을 돈으로 평가하는 현대 사회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는 것은 누구나 동의하실 것입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구태여 돈을 배척하고 부정하겠다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맹목적으로 돈을 추구하는 이런 경향에서 한 발 물러나 자연을 벗삼아 비록 조금 부족하더라도 주어진 분수에 만족하며 사는 삶도 충분히 가치 있는 것입니다.



▣ 이 단원에서는 「금수회의록(禽獸會議錄)」과 「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을 학습하게 된다. 각각의 작품을 통해, 문학의 가치 지향적 성격과 가치의 형상화에 대해 이해해 보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