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나는

[본문스크랩] 02 문학의 기능과 가치 -(1) 문학의 기능

심자한 2010. 3. 7. 03:51

02. 문학의 기능과 가치


(1) 문학의 기능

 

 

문학은 인식적, 윤리적, 미적 측면에서 삶의 질을 고양시켜 준다. 앞서 문학의 구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문학 작품은 인지적, 정의적, 심미적 통합 구조물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우리는 문학 작품을 통해서 이제까지는 몰랐던, 새로운 사실들을 인식하고 발견하게 된다. 또 문학 작품을 통해 다른 사람들의 삶을 접해 보면서 스스로 자신의 삶을 돌아다보고 어떤 것이 바람직한 삶인가를 진지하게 생각해 보기도 하며, 문학 작품에 담겨 있는 다양한 아름다움을 느끼면서 정서적으로 고양되기도 한다. 이렇듯 문학은 우리의 삶을 질적으로 한 단계 높여 주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문학은 이처럼 개인의 삶의 질을 고양시켜 주는 동시에 공동체를 통합시켜 주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예를 들어, 김소월의 「진달래꽃」을 독일 사람에게 설명한다고 생각해 보자. 아무리 독일어를 잘 하는 사람일지라도 그 독일인에게 「진달래꽃」의 아름다움을 이해시키기가 좀처럼 쉽진 않을 것이다.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에 담겨 있는 화자의 정서나 태도, 리듬의 아름다움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이에 비해 우리 한국인이라면 대체로 이 작품을 민족적 정서를 잘 드러낸 서정시로 손꼽는 데에 주저하지 않을 만큼 이 작품의 내용에 깊게 공감하고 있을 것이다. 심지어 특별한 설명을 듣지 않고, 그저 몇 번 읽는 것만으로도 작품의 아름다움을 쉽게 이해하고 공감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우리는 같은 문학 작품을 함께 이해하고 수용하는 사람들끼리만 느낄 수 있는 유대감을 짙게 느끼게 되며, 같은 문학 공동체에 속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 다음은 우리나라의 대표적 구전 민요인 「아리랑」이다. 외국과의 축구 경기에서 우리 팀이 외국 팀을 이겼을 때, 관중석의 우리나라 사람들이 다같이 얼싸안고 이 노래를 불렀다고 하자. 이 때 가장 두드러지게 드러난 문학의 기능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임은

십 리도 못 가서 발병 난다.


▣ 요점 정리


 작가 : 미상

 갈래 : 민요(경상도 지방의 통속 민요)

 성격 : 서정적, 적층적(민중들이 오랜 세월을 거쳐 오면서 첨삭을 하는 것)

 율격 : 3음보, 악보상으로 4음보

 형식 : 선후창요, 각 연 본문 2행, 후렴구 2행

 표현 : 비유, 대구, 반복이 사용되었고, '날 좀 보소'라는 행위의 의미가 애정을 얻고자 하는 소망이라는 점에서 상징성을 띤다. 또한 2연의 '입만 벙긋'이라는 행위에는 애틋한 마음이 함축되어 있다. 또한 사랑하는임의 관심을 얻고자 하는 애절한 심정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느낄 수 있는 보편적 체험이기 때문에 보편적 정서를 표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과거 전통 사회에서 농촌의 삶과 사랑이 어떠했는지 알 수 있기에 당대의 시대적 현실을 반영했다고 볼 수 있다.


 제재 : 남녀 간의 사랑, 물질화된 사회

주제 : 남녀 간의 사랑 애환과 돈을 중시하는 세태

 의의 : 음악적으로나 문학적으로나 정제된 서정 민요


- 지도 방법 : 작품의 내용만 가지고 본다면 축구장에서 승리의 기쁨을 표현하는 데 이별의 상황을 소재로 한 아리랑을 부른다는 것은 어색하기 짝이 없는 일이라는 점을 강조 한다 그럼에도 왜 이 노래를 불렀을까를 생각해보도록 유도해야 한다. 결국 이 경우 다 함께 부르는 아리랑은 경기를 관전한 우리나라 사람들이 다 알고 있는 노래요, 그 노래를 함께 부름으로써 ‘우리는 하나다’.라는 의식을 확고히 다지게 된다는 점을 설명한다.


▶정답 : 공동체 통합의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