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나는

[본문스크랩] 02 문학의 기능과 가치 -보충(애국가,귀천), 심화(승무..

심자한 2010. 3. 7. 03:51

02 문학의 기능과 가치

 

-보충, 심화

 

 

▣ 보충


■ 다음 두 작품을 읽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가) 대죠션국 건양 원년 자쥬 독닙 깃버하세.

텬디간에 사람되야 진충보국 뎨일이니,

님군께 츙성하고 졍부를 보호하세.

인민들을 사랑하고 나라긔를 놉히 달세.

나라 도을 생각으로 시종여일 동심하세.

부녀 경대 자식 교휵 사람마다 할 거시라.

집을 각기 흥하려면 나라 몬져 보젼하세.

우리 나라 보젼하기 자나 깨나 생각하세.

나라 위해 죽은 죽엄 영광이제 원한업네.

국가 태평 가안락은 사롱공샹 힘을 쓰세.

우리 나라 흥하기를 비나이다, 하느님께.

문명화 열닌 세샹 말과 일과 같게 하세.     - 최돈성, 「애국가(愛國歌)」


(나)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새벽빛 와 닿으면 스러지는

이슬 더불어 손에 손을 잡고,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노을빛 함께 단 둘이서

기슭에서 놀다가 구름 손짓하면은,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

가서, 아름다웠더라고 말하리라…….           - 천상병, 「귀천(歸天)」


(가)

갈래 : 개화 가사

성격 : 계몽적, 교훈적,

주제 : 나라 위해 애국하자

최돈성의 '애국가' : 이 노래에서는 1896년 '독립신문'에 발표되었던 개화 가사이다.1896년 1월 조선은 자주 독립의 의지를 표방하기 위해서 '건양(建陽)'이라는 독자적 연호를 제정하여 사용하였는데 이 노래는 당시 사회의 분위기를 잘 전해주고 있어서 독립에 대한 의지를 뚜렷이 하고 애국 정신을 고취하려는 의도에서 지어진 것이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자주 독립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지 않은 채 막연하고 낙관적인 태도로 일과하고 있다는 점이다.


(나)

천상병의 '귀천' : 이 시는 세상에서의 삶을 소풍온 것으로 생각하는 시인의 달관한 듯한 인생관이 잘 나타나 있는 작품이다. 삶에 대한 달관과 명상 그리고 죽음에 대한 체관(諦觀)이 단순하고 소박한 어법과 구조를 통해 잘 나타나 있을 뿐 아니라 특히 새벽빛 노을빛 이슬 구름 등의 아름답고도 덧없는 이미지들을 구사하여 인생의 의미를 형상화하고 있다.



1. (가)의 화자가 가장 강조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 정리해 보자.

지도방법 : 이 활동은 작품이 지니고 있는 가치에 대한 학습이 이전 단계로서 작품 전체의 개략적 내용을 정확히 이해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활동이다. 특히 제목인 '애국가(愛國歌)'가 작품의 핵심 내용을 잘 요약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도록 유도한다. 


-▶답 : 애국(愛國)



2. 창작 의도를 고려해 볼 때, (가)와 (나)가 추구하는 가치의 차이점을 비교해 보자.

지도 방법 : 이 활동은 작품에 형상화된 가치의 차이를 비교해 보는 활동이다. 이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작품에 형상화된 가치를 정확히 파악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학생들이 창작 의도를 파악하기 어려워한다면 (가)에서는 민중을 계몽하여 이 사회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 나가려는 의도를 강하게 드러내고 있고, 그에 비하여 (나)에는 자신이 깨달은 삶의 의미를 담담하게 피력하고 있을 따름이라는 것을 설명해 주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답  : (가)는 공동체적인 가치를 (나)는 개인적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



3. (나)에 드러난 화자의 태도에서 본받을 만한 점이 무엇인지 정리해 보자.

지도 방법 : 이 활동은 작품에 드러난 가치가 현실에 적용할 만한 가치인가를 판별해 봄으로써 문학의 가치가 보편적인 성격도 지니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활동이다. 특히 (나)에 드러난 화자의 태도란 결국 삶을 대하는 태도라는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나)의 화자가 삶을 대하는 태도에서 본받을 만한 점이 어떤 것인지 생각해 보도록 유도한다.


-▶답 : 현실의 삶을 아름다운 것으로 수용하는 태도



4. (나)에서 느낄 수 있는 아름다움을 다음 항목을 중심으로 생각해 보자.

(1) 운율 :

(2) 이미지 :

(3) 시어 :

지도 방법 : 이 활동은 문학 작품의 가치를 심미적인 측면에서 분석해 봄으로써 문학의 아름다움을 객관적으로 확인해 보기 위한 활동이다. 가급적 학급을 몇 개의 모둠으로 나누어 모둠별로 과제를 하나씩 부여하고 토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답 :

 (1) 단순한 문장 구조가 반복되는 것에서 느낄 수 있는 간결한 운율

 (2) 새벽빛 이슬 노을빛 구름 등 곱고 아름다우면서 덧없는 이미지들

 (3) 우리말의 고유한 아름다움을 잘 살릴 수 있는 시어들



▣ 심화


■ 다음 두 작품을 읽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가) 얇은 사(紗)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파르라니 깎은 머리

박사(薄紗) 고깔에 감추오고,


두 볼에 흐르는 빛이

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빈 대(臺)에 황촉(黃燭) 불이 말없이 녹는 밤에

오동잎 잎새마다 달이 지는데,


소매는 길어서 하늘은 넓고,

돌아설 듯 날아가며 사뿐히 접어 올린 외씨보선이여!


까만 눈동자 살포시 들어

먼 하늘 한 개 별빛에 모두오고,


복사꽃 고운 뺨에 아롱질 듯 두 방울이야

세사(世事)에 시달려도 번뇌(煩惱)는 별빛이라.


휘어져 감기우고 다시 접어 뻗는 손이

깊은 마음 속 거룩한 합장(合掌)인 양하고,


이 밤사 귀또리도 지새우는 삼경(三更)인데,

얇은 사(紗)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 조지훈, 「승무(僧舞)」



(나) 살구꽃 핀 마을은 어디나 고향 같다.

만나는 사람마다 등이라도 치고지고.

뉘 집을 들어서면은 반겨 아니 맞으리.


바람 없는 밤을 꽃 그늘에 달이 오면,

술 익는 초당(草堂)마다 정이 더욱 익으리니,

나그네 저무는 날에도 마음 아니 바빠라.                     - 이호우, 「살구꽃 핀 마을」


조지훈의 '승무' : 승무라는 춤을 소재로 하여 삶의 번뇌를 극복하려는 종교적 구도(求道)의 자세를 노래한 작품이다. 이 시는 단순히 승무의 춤 동작이나 아름다움을 묘사한 것이 아니라 그 속에 담겨 있는 수도승의 번뇌 초극에 대한 안타까운 소망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이호우의 '살구꽃 핀 마을' : 이 작품은 현대 시조로서 평화로운 시골 마을의 푸근한 정취와 여유를 노래한 연시조이다. 나그네로 등장하는 화자가 발길을 멈춘 시골 마을에서 마치 고향에 들러서 맛 볼 수 있는 것 같은 따뜻한 인정을 느껴 본다는 내용으로 한국적인 정취를 물씬 풍기는 작품이다.



1. (가)에서 마음에 드는 연을 몇 개 골라서 암송해 보자.

지도 방법 : 이 활동은 학생들 개개인이 아름답다고 느낀 연을 선택하여 암송하게 함으로써 작품의 심미적 가치를 확인해 보기 위한 활동이다. 중요한 것은 어떤 연이 가장  아름다운 연인가를 확인해 보려는 것이 아니라 암송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이 읽어봄으로써 작품의 아름다움을 총체적으로 내면화하려는 것이다.   


-▶답 :

 얇은 사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1연)

 파르라니 깎은 머리/ 박사 고깔에 감추오고 (2연) 등



2. (가)에서 전통적인 미감(美感)을 느끼게 하는 요소들을 다음 항목을 중심으로 정리해 보자.

(1) 이미지 :


(2) 어조 :

지도방법 : 이 활동은 작품의 심미적 가치를 형성하는 요소들을  분석해 보기 위한 활동이다. 특히 활동 (1)의 경우 (가)에 등장하는 소재들이 대부분 한국적 아름다움을 잘 드러내 주는 요소이기 때문에 몇 개의 이미지로 한정해서 답변할 수는 없다. 따라서 가급적 여러 학생들을 발표시킴으로써 전체 이미지들이 모두 유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작품의 심미적 가치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학생들 스스로 확인해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답 :

 (1) '하이얀' '고깔' '나비' '외씨' '보선' 등의 한국적 아름다움을 대변해 주는 이미지들을 구사하고 있다.

 (2) '감추오고' '모두오고' '감기우고'와 같은 우아하고 부드러운 느낌이 드는 어미를 사용하고 있다.



3. (나)의 화자에게서 민족적 동질감을 느낄 수 있는 이유를 다음 항목을 중심으로 설명해 보자.

(1) 정서 :


(2) 소재 :


(3) 형식 :


지도방법 : 이 활동은 문학이 공동체 통합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작품을 감상하는 과정에서 공동체 의식을 느낄 수 있는지 느끼게 된다면 그것은 무엇 때문인지를 확인해 보는 활동이다. 이 활동 역시 많은 학생들을 발표시켜 서로의 생각을 나누는 가운데 학생들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도록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답 :

 (1) 따뜻한 인정미와 풍류를 느낄 수가 있다.

 (2) 살구꽃 꽃 그늘 초당 등에서 향토적 정취를 느낄 수 있다.

 (3) 3장 6구 12음보의 시조 형식을 빌려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있다.